•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4.10
33P 미리보기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39권
    · 저자명 : 원진숙

    목차

    1. 서론
    2.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의 국제 동향
    2.1. 캐나다의 사례
    2.2. 호주의 사례
    2.3. 미국의 사례
    2.4. 중국의 사례
    3. 한국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지원 정책
    3.1. 한국어(KSL) 교육
    3.2. 이중 언어 교육
    4. 결론

    초록

    전세계적으로 국가간 인구 이동이 늘어남에 따라 이민자 가정의
    자녀 등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한 언어 교육 정책이 중요한 국가적 의제
    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오랜 시행착오 과정을 거쳐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을 펴고 있는 주요 여러 나라-캐나다, 호주, 미국, 중
    국-의 사례를 관련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최근 우리 나라에서
    교육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언어 교육 정
    책을 주로 KSL 교육과정 실행 및 이중언어 강사 양성 사업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여 새롭게 당면한 언어 소수자
    자녀들을 위한 언어 교육 문제를 주요 다문화 국가의 사례와 우리 나라에
    서 교육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정책들을 점검해 보는 작업은
    보다 거시적이면서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우리 한국 사회의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어 중요
    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결론적으로 다문화 시대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학생을 위
    한 바람직한 언어 교육 정책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장기적인 관점에서 학교 교육을 통해 언어 소수자 학생을 미래
    의 가치로운 인적 자원으로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언어 교육 지원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사회의 언어 교육 정책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주류 문화권의
    언어인 제2언어와 함께 소수 문화권의 언어인 계승어를 함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언어 교육을 고려하면서 그 균형점을 찾는 방향에서 이
    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공교육 안에서 우리 사회의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
    책을 지속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선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언어 소수자 자녀를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을 공교육 안에서 안정적으
    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속적 재정 확보와 행정적 지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s human migration amongst nations increases globally the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the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is becoming an urgent national
    agenda. This research will examine several different major countries-Canada,
    Australia, the United States, and China-that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before
    Korea though a long process of trial and error, by analyzing examples of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These countries are based on multiculturalism and have been
    spreading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the children of immigrant families. This
    research will als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recent
    government led general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our public education system,
    “From Top to Bottom”, which was made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This policy has been practicing the KSL curriculum, as well as train
    bilingual instructors system. While enter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examples
    of multicultural countries as well as the lead of our country's Ministry of Education
    has achieved a string of policies for the language education problems newly
    confronted for minority children. This research has meaning in the fact that it will
    not just inspect the string of policies but, in a macroscopic and long-term aspect,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in seeking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society's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To conclude,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desirable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our society's language-minority children.
    First, in a long-term perspective, organized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eed to be established through school education to train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to become valuable future human resources.
    Second, in a macroscopic perspective multicultural society'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eed to take bilingual education into consideration to find an equilibrium
    point where minority's heritage language can be used along with second language
    in the mainstream culture.
    Third, more than anything legal institutional groundwork needs to be prepared
    in order for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public education for our society's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to be continuously and safely pushed
    ahead.
    Fourth, in order to safely push forward language education policies in public
    education,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secure financ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