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주체 형성 -‘탯말두레’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1.10
23P 미리보기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주체 형성 -‘탯말두레’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29권
    · 저자명 : 차윤정

    목차

    1. 들어가기
    2. 지역어 대한 인식
    3. 언어주체 형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글에서는 지역어에 대한 인식과 언어주체 형성의 문제를 탯말두레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급속한 근대화 과정 속에서 자본과 문 화, 언어는 중심에서 주변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자기가 몸담은 지역을 무대로 살아가고 있으며, 일상 역시 지역, 지역적인 것과 분리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언어 의식조사』 보고서에 나타난 것처럼 지역인들은 자신의 일상언어인 지역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시 지역인이라는 의식의 타자 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지역어에 대한 인식의 배경에는 표준어 제정, 표준어 중심의 언어정책 시행 과정에서 만들어진 구별짓기 의식과 언어적 아비투스가 자리한다. 지역어 운동 단체인 탯말두레는 언어를 통한 대안적 주체로서의 가능 성을 보여준다. 탯말두레는 지역어를 ‘탯말‘로 새롭게 명명함으로써 지역 어에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고자 하며 헌법소원을 통해 언어적 아비투스에 대항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 지역어 보급과 보존을 위한 탯말 도서의 발간 과정에서 지역 내부 및 지역 간의 소통과 연대를 통해 차이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이전의 언어를 통한 이분법적 구별짓 기의 구조를 재편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이러한 탯말두레의 활동은 지역 어 사용자들이 언어를 통해 새로운 주체가 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열어 보이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paper aims to investigate people`s viewpoint on local languages and becoming agents of language with the case of Tatmal Dure. Amid the rapid modernization, capital, culture, and language have spreaded from the mainstream to the margin. People, however, still live in their own region and their day-to-day life is inseparable from regional things. Survey of People`s Consciousness of Language reports that despite their inseparableness, local people have a negative connotation of their local language and this eventually contributes to objectifying them as local people. It seems that the formulation of standard language, the discrimination of local languages in the course of the enactment of standard language oriented-language policies, and linguistic habitus have played a role in such understanding of local languages. An active organization of local languages, Tatmal Dure, manifests a possibility that local language can become an alternative agent. Tatmal Dure attempted to provide a new identity to the local language by naming it as Tatmal and furthermore, act against linguistic habitus through a Constitutional appeal. Tatmal Dure also strived to revise the distinctive structure of local and standard languages by encouraging dialogues within a community and between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Tatmal related-books, which was an attempt of preserving and spreading of local languages. Its action seems to promise some possibility that users of local language can become new agents via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