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8권 / 3호
    · 저자명 : 강승원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과 그들의 삶 속에서 드러난 어려움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
    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5명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
    을 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 단계마다 엄격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비장애 청소년의 성장이야기’, ‘비장애 청소년의 세상살이 이야기’로 분석하였으며,
    ‘공부를 하라는 가족이 전혀 없음’, ‘학업 성취감을 알아가며 앞으로 나아감’, ‘나만의 공간으로 숨어버
    림’, ‘일찍 어른이 되어버림’, ‘다른 부모, 같은 사랑’, ‘가족의 가족이 나를 키움’, ‘나를 그대로 받아들여
    주는 친구가 있음’, ‘가난한 생활에 짓눌려 살아옴’, ‘힘듦과 힘냄의 양날에 서있음’으로 범주화 하였다.
    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 가족의 장애이해,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과 사례관리
    등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태조사와 경제적 지원을 위한 수당제도 등 정책적 방안을 함께 제
    시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t investigates the life of normal adolescents who have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difficulties which suggested social welfare
    meanings of this study.
    In order to conduct wide and in-depth analysis on cas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it describes and analyzes the intellectual
    disability parents’ normal children in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an insider
    through in-depth interviews, various sources and diverse data collecting methods.
    A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both parents should b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ir child shall be non-disabled and at least a high school student
    or older. Through the intentional sampling, five late adolescents who were in
    high school, all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collection process had
    been conducted from January 2014 to May, which is commonly utilized for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ases were practiced
    for analysis. For credi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it obtained severity at each
    stage by meeting the standard.
    The analysis results were largely divided into “growth story of non-disabled
    adolescents” and “life of non-disabled adolescents". Nine upper categories
    analyzed the common features in each case. The nine categories were “no one
    tells me to study”, “advance while learning the sense of academic achievement”,
    “hide into my own space”, “having to grown up early”, “different parents but
    same love”, “relatives raised me”, “have a friend who accepts me as I am”,
    “being pressed by poverty”, and “standing on a knife edge of being hurt and
    taking heart”.
    Based on the in-depth research on normal teens that have intellectually
    disabled parents, theoretically speaking, this study expanded the prospect of study on intellectually disabled to their normal, intellectual teenage children. As
    for practical significance, understanding their parents’ intellectual disability,
    parenting technique training, case management from the community level is
    suggested. Rregular real condition research of the families, allowance system for
    economic support et al. is suggested in policy aspec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