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 5세 유아의 그림책 읽기의 재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7.02.01 최종저작일 2016.01
29P 미리보기
만 5세 유아의 그림책 읽기의 재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육아지원학회
    · 수록지 정보 : 육아지원연구 / 11권 / 4호
    · 저자명 : 윤문홍, 최윤정, 최수경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이 자유 선택한 그림책을 읽으면서 나타내는 재미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문
    화기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사랑유치원 만 5세 유아 60명과 교사 4인을 연
    구 참여자로 하였다. 총 75회의 참여관찰과 총 6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들은 생리적 욕구해소와 자유를 느낄 수 있는 단어나 장면, 반짝임이나 색 등 시각적 아름다움에서
    즉각적 재미를 느꼈다. 둘째, 유아들은 다른 뜻으로 해석되거나 반대어를 만드는 언어적 유희, 팝업 그림
    책을 조작하여 그림을 변화시키는 것에서 조작적 재미를 느꼈다. 셋째, 유아들은 고정관념을 벗어난 이야
    기, 경험과 연관된 새로운 상상과 유추, 생활경험에 의한 공감, 일상생활의 의미 찾기에서 창의적 재미를
    느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만 5세 유아들이 재미있게 그림책에 몰입하여 읽는 것은 그림책
    속의 상징을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문화문해의 과정이며, 미래 사회의 핵심 역량을 기르는 출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들이 나타내는 그림책 읽기의 재미는 그들의 일상생활에서 의미화의 시작이므로 학
    습의 중요한 접근동기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n ethnographic study to find out the meaning of fun in the picture
    books read by five-year-olds children. For this purpose, 60 five-year-olds children and
    4 teachers at Sarang kindergarten in Wonju, Kangwon-d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zing data through 75 observations and 6 in-depth interviews, first,
    children felt instant fun from words or scenes that they can relieve physiological needs
    and feel freedom out of, and visual beauty such as flashes or colors. Second, the
    children felt operational fun from verbal play which includes being interpreted to other
    meanings or making antonyms, and changing pictures by manipulating pop-up picture
    books. Third, the children felt creative fun from thinking outside the box by twisting
    daily thoughts, imagining and inferencing newly relating their experiences, empathizing
    life experiences, and finding meaning of daily liv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ve year olds’ being immersed in picture books with fun is in the process of
    cultural literacy course which is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symbols in picture, and
    also can be a beginning of building core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Therefore,
    children’s fun of picture book reading should be used as an important approach to
    motivate learning because it is the beginning of signification in their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육아지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