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5.09
22P 미리보기
우리나라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열환경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열환경공학 / 1권 / 2호
    · 저자명 : 박미진, 한진수

    목차

    Ⅰ. 서 론
    Ⅱ. 성년후견제도의 개념과 이념
    Ⅲ. 성년후견제도의 도입배경과 쟁점
    Ⅳ. 우리나라 성년후견제도의 주요 내용
    Ⅴ.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우리나라도 인구의 고령화와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장애인단체 등을 중심으로
    성년후견제도 도입을 위한 활동, 장애인권리협약 체결 등의 영향으로 2011년 2월 민법개정안
    이 국회를 통과하고, 2013년 7월 1일 새로운 성년후견제도가 본격 시행되었다.
    도입 과정에서 민법개정안과 특별법 제정안, 일원론과 다원론 등 많은 논의와 쟁점들이 존
    재했지만 우리 법률체계와 현실 등을 고려하여 민법개정을 통한 다원론 형태의 성년후견제
    도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장애인 권리협약 등 현대적인 상황을 반영하여 부분적으로 일
    원론적인 형태가 일부 도입되었다.
    우리나라 성년후견제도는 피후견인의 행위능력의 범위와 후견의 업무범위와 대리권 등에
    따라 성년후견, 한정후견, 특정후견 으로 나누고 장래 치매 등 정신적 제약 등을 대비해 미
    리 후견계약을 체결해두는 후견계약 등으로 나누어진다.
    성년후견제도 이용현황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홍보부족과 일반국민들의 인
    식 부족, 제도적 미비 등으로 성년후견유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한정후견이나 특정후견,
    후견계약유형의 이용이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성년후견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러 정책적 과제들이 있지만 우선
    제도이용 절차나 피후견인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항과 법률이 정비되어야 한다. 또한
    피후견인의 인권을 침해할 수 있는 선거권의 제한이나 인신결정에 대한 동의조항 등 피후견
    인의 인권을 제한 할 수 있는 조항 등이 정비되어야 하며, 300여개 법률 등에서 존재하는 피
    성년후견인이나 피한정후견인에 대한 결격 조항 등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With the changes of welfare paradigm and aging population,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ivities for introduction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mainly promoted by organizations for the disabled helped a
    revision on the civil law to be passed in February 2011, and a new adult guardianship
    system was put into effect on July 1, 2013.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there were a lot of discussions and issues relating to
    the revision to the civil law, special law enactment, monism and pluralism, but the adult
    guardian system of a form of pluralism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was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system and reality of Korea. However, a form of
    monism was partially introduced by reflecting the contemporary situations such as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n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divided into adult guardianship, limited
    guardianship and specific guardianship depending on the range of a ward's behavioral
    ability and business scope, and the right of representation of the guardianship, and
    guardianship agreement sign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mental constraints such as
    dementia.
    The use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has continuously been on the rise. However, due
    to the lack of publicity, public awareness and institutional devices, only the adult
    guardianship is rampant, and the use of limited guardianship, specific guardianship and
    guardianship agreement is not widely sprea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a lot of political
    agendas can be considered. First of all, however, it is required to maintain specific
    provisions and regulations to support wards or institutional procedures for using the
    syste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maintain provisions that can restrict the human
    rights of wards such as the consent to personal decisions or the limitation of voting rights
    that can violate the human rights of wards,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provisions
    regarding the disqualification of adult ward or limited ward which are present in more
    than 300 law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환경공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