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5.12
28P 미리보기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59권
    · 저자명 : 김현철

    목차

    1. 머리말
    2. 초수외국어(初修外国語)로서 한국어의 특징
    3. 조선어, NHK한글강좌의 논쟁, 대학입시센터시험의 한국어
    4. 동북대학 한국어 교육의 현황
    5. 이문화(異文化)이해에서 이문화(異文化)체험으로
    6.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일본에서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은 2000년대 이후에는 확고한 기반을 갖고 매
    년 성장하고 있다. 양적으로 학습자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 진지하게 논의하고 개
    선해야할 시기에 도달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북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현재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어떠한 시도
    를 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사례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초수외국어로서 한국어의 특징」, 「조선어 명칭 문제」, 「동북대학 한국어 교육
    의 현황」, 「이문화이해에서 이문화체험으로」가 중심적인 내용이다. 「초수외국어
    로서 한국어의 특징」에서는 외국어 학습의 목표가 글로벌 인재 양성이지만, 현실
    적으로 주2회 수업으로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서술하였다. 「조선
    어 명칭 문제」에서 학술적인 명칭인 조선어의 입지가 점점 약화되고 있고, 특히
    차별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동북대학 한국어 교
    육의 현황」에서는 초급레벨의 주2회, 중급레벨의 주1회 수업이 가진 한계, 학습자
    의 의욕 저하문제, 한국어 학습환경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서술하였
    다. 「이문화이해에서 이문화체험으로」에서는 동북대학의 SIJAK 서클, 한국인 네
    이티브 서포트(스터디그룹), SAP(한국체험프로그램)이 어떻게 연계되어 학습동기
    를 이끌어내고, 한국문화에 관심을 갖게 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하
    였다.

    영어초록

    Since the year 2000, the Korean language has risen rapidly in Japan as a
    foreign language. Accordingly, there are now many more learners of varying
    levels and with varying needs and objectives, which has naturally led to the
    emergence of issues conce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head on the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 set out on
    this discussion with the understanding that the time has come to remedy these
    problem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examples in Tohoku University, I
    highlight the present issues and introduce examples that show how these
    problems are being addressed.
    The central themes discussed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term chōsen-go,”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ohoku University,” and “the
    shift from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o intercultural experience.”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I discuss the
    fact that while the officially stated aim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to
    nurture globally-oriented human resources, with only two lessons a week, the
    aim is unattainable. In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term chōsen-go,” I argue
    that the term is increasingly losing its status as an academic term, and that its
    discriminatory nuance presents another limit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ohoku University,” I discuss the limitations of
    having twice-weekly beginner level classes and one-weekly intermediate level classes, and I highlight the problem of poor motivation among learners and the
    issues concer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I also discuss
    strategies to resolve these issues. In “the shift from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o
    intercultural experience,” I introduce specific examples to show how Tohoku
    University’s SIJAK (a Japan-Korea exchange circle), Korean Native Support (a
    study group), and SAP (a Korean experience program) are working together to
    inspire motivation among learners and raise interest in Korea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