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6.07 최종저작일 2016.02
25P 미리보기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방법연구 / 28권 / 1호
    · 저자명 : 홍기칠

    목차

    Ⅰ. 서 론
    Ⅱ. 거꾸로 교실의 이해
    Ⅲ. 거꾸로 교실의 적용에 대한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거꾸로 교실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평적으로 분석하여
    실행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거꾸로 교실 실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밖’ 온라인 강의내용은 ‘교실 안’의
    오프라인 심화학습활동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수적인 핵심개념이나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준별 탐구질문과 논리적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교실
    안’의 학습활동은 ‘교실 밖’의 온라인 동영상 내용의 핵심개념과 탐구질문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와
    심화된 지식구성이 가능하도록 교사가 개별적으로 혹은 소집단별로 수행활동을 모델링, 코칭, 스케폴
    딩 해야 한다. 셋째, 교육당국은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사연수 프로그램과
    학습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당국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나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들이 동영상 제작과 스마트 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가 수업동영상을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교
    사들이 만든 수업동영상이나 EBS 강의 동영상 혹은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용 동영상이나 문서파일
    등 표준화된 동영상을 제공하고 스마트러닝과의 연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를 흥미 있게 시청하도록 퀴즈풀이, 개별적 모임활용, 개별화된 수업시간관리, 온라인 토론방 활
    용, 프로젝트 학습, 주요 개념의 설명 등의 동기유발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거꾸로 교실 실행
    전에 학생들에게 거꾸로 수업방법의 장단점, 수업절차, 학습자 역할, 유의점 등을 충분히 안내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거꾸로 교실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
    그램, 수업공개, 교사-학부모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활동을 연계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instruction outside of
    classroom should not only contain the key contents or information that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off-line instruction, but also contain cues from which students can make constructive questions and critical
    thinking. Second, teachers for the ‘in-classroom’ learning should make model, coach, and scaffold learning
    activities to individuals or small groups of students based on the key contents and constructive questions
    made from the on-line learning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constitute advanced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Thir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gges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well as guidelines of learning assessment and
    support necessary finance.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revitalize the formation of leaning
    communities and networks in which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Fif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improve classroom environments
    and upgrade on-line systems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provide such system from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an use smart devices and make videos effectively. Six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the
    teachers standard videos for the ‘flipped classroom’ such as videos or documents files through EBS or
    EDUNET. Seventh, teach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such as quiz, online discussion, project learning, and
    discussion of the key contents, to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through watching the
    on-line video lecture of the ‘flipped classroom’.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develop activities,
    such as broadcast program, demonstration classes, and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o that parents can get various knowledges and experiences on the ‘flipped classroo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방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