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의 조성과 그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5.02
33P 미리보기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의 조성과 그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사부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사부와 동해 / 9권
    · 저자명 : 장일규

    초록

    이 글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삼화사 창건 내역과 노사나불상 조성의 내용, 그리고 불상 조성의 불교사적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다만 불상의 양식을 중 심으로 고찰한 기존 연구와 달리 명문에 기록된 결언의 행적, 사상 경향을 통해서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 조성의 정치적인 입장을 주로 살폈다. 삼화사는 대체로 후삼국통일 이후에 왕건이 범일의 遺墟에 전각을 세우고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하지만, 조선 후기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범일이 터를 닦기 이전에 이미 삼화사는 지금의 자리보다는 바다에 가까운 계곡 아래쪽에 자리 하였다. 삼화사 옛 터에는 석탑 1기와 함께 철불 2구가 있었다고 전한다. 현재는 1구의 철불만이 남아 있는데, 그것은 삼화사 적광전에 봉안된 노사나불상이다. 이 불상은 ‘말법이 시작된 지 300여 년’에 조성되었다.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상이나 염거화상 승탑의 명문과 관련하여 볼 때, 제작 시기는 대체로 860년 쯤일 것이다. 없어진 1구의 철불은 9세기에 전국적으로 비로자나불상 제작이 성행하였음을 고려하면, 비로자나불상일 것으로 짐작된다.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 조성 불사는 결언이 주관하였다. 결언은 삼화사 노사나 불상을 조성하는 불사를 설행한 뒤, 다시 숭복사 노사나불상을 제작하는 불사에 참여하는 등 주로 노사나불상 조성에 깊이 관여하였다. 숭복사 노사나불상의 제작은 경문왕의 지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도 경문왕 의 교서에 의해서 제작되었을 것이다. 곧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상의 조성에는 즉위 직후 위상을 부각하면서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경문왕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 되었다. 결언은 해인사 승려였다. 헌강왕과 정강왕 때 해인사에서는 지엄과 의상을 추모 하는 법회를 개최하면서 60권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foundation history of Samhwasa, the construction and the content of Nosanabulsang, as well as the Buddhist meaning of construction of Bulsang (statue of the Buddha)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ly, as opposed to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form of Bulsang, political perspective behind the construction of Samhwasang Cheoljonosanabulsang was mainly observed. Samhwasa is generally known to have been founded as Wanggeon built a royal palace on the historical site of Beomil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However, the record from the late Chosun reveals that it was already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a valley near the sea instead of the present location even before Beomil laid the foundation. It has been told that there was a stone tower and 2 iron Buddhas on the old site of Samhwasa. Today, only 1 iron Buddha remains and this seems to be Nosanabulsang that was enshrined before the serene light of Samhwasa. This Bulsang was built after 300 years of the start of the latter days of the law. Based on Dopiansa Cheoljobirojanabulsang and Yeomgeohwasang Seungtap of that perio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esumed to be around the year 860. The iron Buddha that disappeared is presumed to be Birojanabulsang based on the fact that it prevailed around the country in the 9thcentury. The Buddhist service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was supervised by Gyeoleon. Gyeoleon was deeply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Nosanabulsang, for example performing the Buddhist service for constructing Samhwasa Nosanabulsang, as well as attending the Buddhist rituals for building Soongboksa Nosanabulsang. The construction of Seungboksa Nosanabulsnag was supported by King Gyeongmun. Accordingly,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too was probably built following the order of king Gyeongmun. The King Gyeongmun’s political intention to accentuate its status following the accession to throne and to seize the political leadership was behind the construction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Gyeoleon was the Buddhist monk of Haeinsa. During the period of king Heongang and king Jeonggang, Haensa organized Buddhist ceremonies commemorating Jieom and Euisang, and performed Hwaeombulsa for the Avatamska Sutra(Hwaeomgyeong). Gyeoleon, along with Hyeonjun, organized Buddhist services. Natuallry, Gyeoleon had Hwaeomsasang, but was also interested in scholarly reasoning and practical logic. As Gyeoleon emphasized combined Hwaeomsasang as he organized Buddhist services building Nasanabulsang and Birojanabulsang,, the stance of King Gyeongmun wishing to embrace the Buddhism was reflected. The royal family of King Gyeongmun tried to pacify the public sentiment perceiving that the world was coming to an end, and to hold Seonjongsanmun in check. Finally, the construction Buddhist services of Samhwasa Cheoljonosanabulsang wa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intention of the royal family of king Gyeongmun who attempted to preserve its power with the interest in Myeongju areas and by using Samcheok as strategic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사부와 동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