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장치로서재정신청제도에 대한 소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8
22P 미리보기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장치로서재정신청제도에 대한 소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가천법학 / 3권 / 2호
    · 저자명 : 송진경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재정신청제도의 연혁과 입법취지
    1. 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
    2. 1973년 형사소송법의 개정
    3. 2006년 국회법제사법위원회에서 개정안
    4. 현행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의 주요내용
    5. 재정신청사건의 심리와 결정(제262조)
    6. 재정신청사건 기록의 열람 ․ 등사 제한(제262조의2)
    7. 재정신청의 비용부담(제262조의3)
    8. 공소유지변호사제도의 폐지 및 공소취소의 제한(제262조 제6항, 제264조의2)
    Ⅲ. 현행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의 쟁점에 대한 검토
    1. 재정신청 대상범죄
    2. 관할법원과 법원의 권한(조사의 범위와 방법)
    3. 재정법원의 결정에 대한 불복문제
    Ⅳ. 결 론

    초록

    재정신청제도란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해 불복하는 고소인 또는 고발인이 법원에 공소제기 여부를 재판으로 결정해 줄 것을 신청하는 제도를 말한다. 1954년 제정 형사소송법은 기소독점주의(형사소송법 제246조)와 기소편의주의(제247조)를 규정하면서도 검사의 기소권에 대한 통제장치로서 재정신청제도를 아울러 규정하였다. 제정 형사소송법은 모든 고소․고발사건에 대해 재정신청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으나, 1973년 유신헌법의 실시에 따른 형사소송법의 개정으로 재정신청의 대상은 형법 제123조부터 제125조까지의 공무원의 직권남용죄로 제한되었다. 2007년 형사소송법의 개정 이후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현행 형사소송법은 재정신청제도를 확대 개편하였다. 이에 따라 재정신청의 대상이 모든 고소사건에 대해서는 전면 확대되었으나 고발사건의 경우에는 여전히 형법 제123조부터 제125조까지의 공무원의 직권남용에 관련된 범죄에 국한되기에 제정 형사소송법 당시의 전면적 허용과는 차이가 있다. 입법자가 사법기관(司法機關)에 의한 재정신청제도를 두게 된 배경은 검찰항고와 같은 동일한 기관 내에서의 내부적 통제보다는 외부적 통제 장치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점에 대한 인식에 기인한다. 향후 형사소송법의 개정에서는 고발인에게도 재정신청권을 전면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모든 법률의 최상위법은 헌법이므로 형사소송법 역시 헌법에 합치되도록 해석 ․ 적용되어야 한다. 헌법 제107조 제2항과 형사소송법 제415조에 근거하여 볼 때 재정신청에 대한 기각결정에 대하여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법률․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있는 경우에는 대법원에 재항고가 가능하다고 새기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he motion for judicial ruling (Korean "Jae-jung-sin-chung) is a system that the complainant or accuser files a petition for adjudication to find whether such disposition is properly made with the High Court having jurisdiction over the venue where the district public prosecutor's office to which the public prosecutor belong is situated if he receives a notice of non-prosecution from the public prosecutor.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1954 when the legislators established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as stipulated the principle of public prosecution by a public prosecutor and the principle of discretionary indictment, as well as the motion for judicial ruling for controlling prosecutor's power to decide whether or not to indict. The range of the motion for judicial ruling in the Korean Criminal Law 1954 is all complaint cases and all accusation cases. The amendment of Criminal Procedure Law by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1973 reduced the range of the motion for judicial ruling from all crimes to the abusing crimes of investigative authorities under Articles 123 through 125 of the Criminal Act Criminal Act. 2007 Revision of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expands the range of crimes subject to motion to cover all complaint cases. However, the range of the accusation cases is still limited to the abusing crimes of investigative authorities under Articles 123 through 125 of the Criminal Act Criminal Act. The reason for stipulating the motion for judicial ruling was that the legislators hoped to establish the outside system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inside system, prosecutory appeal, for controlling prosecutorial power. Thus, it would be well that the range of crimes subject to motion for judicial ruling expands all complaint cases and all accuser cases i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would be revised hereafter. The Criminal Procedure Law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s the supreme law. On the basis of the Constitution Article 107, Clause 2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Article 415, we are able to construe that re-appeal may be lodged to the Supreme Court only on the ground that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cts, Ordinances or regulations which have affected the decision of the Court if the court of appeal or the High Court renders the dismissal of a motion for judicial ru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천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