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에서의 저작권 남용법리의 정립을 위한 일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1 최종저작일 2013.01
21P 미리보기
우리나라에서의 저작권 남용법리의 정립을 위한 일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 수록지 정보 : LAW & TECHNOLOGY / 9권 / 1호
    · 저자명 : 백승엽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저작권 남용 법리
    Ⅲ. 우리나라에서의 저작권 남용이론의 정립
    Ⅳ. 결론

    초록

    미국에서의 저작권 남용이론은 특허남용이론
    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이론적 근거는 형평법상
    ‘깨끗하지 못한 손 원칙’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저작권자의 어떠한 권리의 행사가 저
    작권 남용에 해당하는지에 관해서 연방항소법원들
    은 공공정책에 위반하여 규정상 권리범위를 넘어
    서 저작권을 확장하거나 반독점법에 위반한 행위
    에 대하여 남용을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에는 저작권 남용에 관하
    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한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IT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한 저작권을 둘
    러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저작권의 남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계속 증대되고 있다고 할 것이어서 저작
    권 남용법리에 관한 해석론의 도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의 저작권 남용법리는 민법 제2조
    의 권리남용에 관한 조항을 토대로 전개할 수밖에
    없을 것인데, 종래 전통적인 사권의 행사에 있어서
    권리남용의 엄격한 요건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에는 저작권 남용이 인정될 수 있는 경우란 극히 드
    물 것이고, 이는 사회 전체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저작권이라는 제도 자체가 문화의 향상발전이
    라는 정책적 목적에 따라 저작권법에 의하여 비로
    소 창설된 독점권이라는 점에 비추어 보면 사회성
    내지 공공성이 매우 강한 제도이므로, 저작권의 행
    사가 그 존립의 기반이 되는 저작권법의 목적이나
    저작권정책에 위반된다면 그에 대한 독점권의 부
    여는 더 이상 그 존립근거가 없다고 할 수 있고, 저
    작권 남용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 남용의 법리는 저작권자의 보호와 일반대
    중의 저작물 향유로 인한 이익이 상호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민법상 권리
    남용의 요건은 저작권 남용에 있어서는 적절히 변
    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inciple of copyright misuse is originated from the patent misuse doctrine and both ofthem are based on unclean hands doctrine in law of equity. Some Federal Circuit Courts adoptedthe copyright misuse defense in what is referred to as public policy misuse, which requires that thecopyright be used in a manner violative of the public policy behind copyright law. Others adoptedthe copyright misuse defense in antitrust-based misuse.There is no regulation related copyright misuse in copyright law of Korea, but we need to adoptthe principle of copyright misuse based on Korean legal system because the prevention ofcopyright misus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our surroundings related with copyright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The principle of copyright misuse in Korea should be based on abuse of a right of article 2 in theCivil Law. However, if the same test of abuse of a right is applied in the copyright misuse, article 2in the Civil Law will be rarely applied in copyright misuse cases and it might not be desirable for oursociety.Copyright is the exclusive right for authors granted by copyright law to improve and progressculture. As the copyright system itself has the nature of public interest, the exercise of copyrightagainst the purpose of copyright law or public policy should be treated as copyright misuse.It is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pyright misuse to harmonize the copyright of theauthors and the public interest, thus the tests of abuse of a right in the Civil Law should be modifiedin the copyright misuse doctrin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LAW & TECHN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