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면해설 텍스트의 비교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10.12 최종저작일 2014.12
26P 미리보기
화면해설 텍스트의 비교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30권 / 4호
    · 저자명 : 이영희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논의
    Ⅲ. 텍스트 분석
    Ⅳ. 결론

    초록

    본 연구는 화면해설의 동서양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어 화면해설 텍스트의 특징을 알아보고, 문
    화의 차이에 따른 화면해설 작가의 주관적 해독이 화면해설 텍스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자 하였다. 한국과 영국의 화면해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이야기 시퀀스, 설명 시퀀스, 기술 시퀀스, 논
    증 시퀀스가 모두 사용되고 있었으며, 도입부에서는 주로 배경과 인물이 소개되면서 설명 시퀀스와 기술
    시퀀스가 이용되었고, 극이 전개되는 중간에는 이야기 시퀀스가 유용하게 접목되었다. 영국과 한국의 화
    면해설 텍스트의 공통점은 극의 도입부에서 시공간적 배경과 인물소개에 공통적으로 집중하고 있었으며,
    인물의 특징을 단순하게 나열하지 않고 등장인물의 행동 묘사에 녹여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장면전환이
    되었을 때 배경 정보를 가장 먼저 제시 해주는 공통된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반해, 두 국가의 화면
    해설 텍스트의 차이점은 우선 배경설명의 치밀성에 있었다. 영국의 경우, 단순한 장소만을 제시하는데 반
    해, 한국의 화면해설은 배경과 주변 환경을 비교적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었다. 또한 상품 브랜드명의 제
    시 여부에서 동서양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영국은 자동차 추격 장면에서 구체적인 자동차 브
    랜드명을 해설에 넣은 반면, 한국의 화면해설은 중소 대형 승용차나 트럭, 버스 등 형태를 구분할 수 있
    는 차량의 종류와 색깔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분 짓고 있다. 또한 한국의 화면해설은 등장인물의 연령대
    를 제시해 주는데 반해, 영국은 구체적인 연령대를 제시하지 않으며, 외모로써 대략 짐작하게 하는 해설
    법을 쓰고 있었다. 이 같은 차이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화
    면해설 서비스는 비록 다른 선진국에 비해 뒤늦게 시작되었지만, 그 제작에 있어서 다른 국가의 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인 개발에 힘써 나름의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현재와 같은 우리 고유의 특징을 가
    진 화면해설은 바로 그와 같은 노력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화면해설이 국내 시각장애인을 위해
    더욱 유용한 서비스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와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common and distinct features in video description
    texts of Korea and UK, and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ver the texts by different
    authors having different growing background. The analysed texts look similar in
    sequencing. In the openings are ‘sé quence explicative’ and ‘sé quence descriptive’
    which introduce circumstances and characters, while in the middle of works are
    ‘sé quence narrative’ which develop stories. Texts of Korea and UK share the
    focusing in opening parts on introducing time-space circumstances and characters.
    Characters are portrayed by describing their acts rather than merely listing aspects.
    One of differences between the texts of Korea and UK is, among others, the
    detailedness in the depiction of backgrounds. In the texts of Korea,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are described in detail while a mere whereabout is presented in UK.
    They also differ in whether the brand names of goods are presented. While UK texts
    tell specific automobile brand names, Korean texts only mention the colors and types
    of vehicles such as passenger car, truck, and bus. Korean texts depict characters by
    informing their ages and attires, whereas UK texts advise of characters’ appearances
    from which listeners could guess their ages. Such distinctions are deemed to stem
    from cultural difference. Although Korea was late in commencing video description
    services, we have endeavored to carve out our own way to make the video
    description texts rather than follow blindedly the working manuals made in foreign
    countries. Distinctively Korean video description texts such as shown today may be
    the achievement of the efforts. Further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required to
    make the video description services more helpful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