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발전의 도해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9.04 최종저작일 2003.01
47P 미리보기
교육발전의 도해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원리연구 / 8권 / 1호
    · 저자명 : 장상호

    초록

    현존하는 교육학은 고유한 의미의 교육을 은폐하거나 왜곡한다. 흔히 교육하면 학교를 연상하고, 해법 또한 그 곳에서 찾고자 하지만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도적 관습, 재생산해내는 상식, 그리고 그와 연관된 용어는 마치 출구가 없는 미로처럼 그 자리에서 맴돌면서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더 가중시키고 있다. 그 원인의 하나는 개념적인 혼돈과 범주착오다. 본 논문은 간결한 도해의 힘을 빌어 교육이 그 혼돈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을 요구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학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삶의 양식들이 복합된 삶의 공간의 하나이고, 교육은 학교 이외에 가정, 직장, 학원, 각종 회관, 가상공간 등 다양한 삶의 공간에서 진행되는 삶의 양식의 하나다. 교육은 그 나름의 구조와 내재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요구에 순응하는 주체를 통해서 고유한 내재적 가치를 실현시킨다. 학교를 포함하는 다양한 삶의 공간에서 교육을 발전시키는 진정한 과제는 이렇게 새롭게 밝혀진 교육을 전경의 위치에 놓고 여타의 삶의 양식을 그것에 가장 유리한 배경으로 배치하고 조성하는 데 있다.

    영어초록

    It is an irony that current educational researches which have relied mainly on so called other discipline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ctually results in distorting or at best veiling an educational phenomenon rather than revealing it. This study explains why such misgiving happens in terms of the accidental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nd then by using simple figures and diagrams explains theoretically what the real nature of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would be. Categorical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and schooling which ordinary people and even educational researchers have so often been in confusion is clarified once and for all indicating that the former belongs to a realm of life whereas the later a space of life. Education is depicted as a self-regulated realm with its own structure and intrinsic rules to which the educational agents should conform in order to participate in it. In a such theoretical context, educational development is defined as the desirable state that people spontaneously participate in and enjoy an educational life whenever and wherever they wish. Remaining discussions focus on how to achieve the educational development in our daily life. Two main means are suggested. The one is what is called meta-education, a particular built-in mechanism that education educates itself. In addition to keeping on regulating its autonomy and congeniality through this mechanism, education could be able to get as many supports as possible from or at least tries to be in harmony with such other realms as politics, economy, social system, culture, and religion which constitute its environ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