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부산지명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6.05 최종저작일 2015.04
54P 미리보기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부산지명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연구 / 41권
    · 저자명 : 이근열

    목차

    1. 들어가기
    2. ⌈조선지지자료⌋ 부산 지명 원전 분석
    3. ⌈조선지지자료⌋ 필사 지명 원전 재구
    4. 차자표기법 분석
    5. 한글 지명 분석
    6. 결론

    초록

    본 연구는 ⌈조선지지자료⌋ 부산편 한글 표기 지명 281개를 대상
    으로 필사본 지명을 확정하고 차자표기법, 한글 표기법 등을 분석하는 것
    이 목적이었다. 분석 결과 차자표기법에서 네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지
    만 한글 표기 지명과 한자 표기 지명이 정확히 대응되지 않는 지명도 있
    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유 지명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한자를 잘못
    표기한 것과 오기도 발견되었다. 지명의 후부 요소로는 ‘간(澗), 계(溪),
    천(川), 강(江), 곡(谷), 산(山), 령치현(嶺峙峴), 치(峙), 야(野), 야평(野坪),
    평(坪), 진(津), 포구(浦口), 제언(堤堰), 보(洑), 못[池], 주막(酒幕), 성(城)
    등 18개의 대부류가 나타났다. 또, 한글 지명의 표기법에는 1910년도의
    표기법과 부산 방언의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징적인 표기
    법으로는 ·의 쓰임, ㅅ계 합용병서의 표기, 7종성 표기, 사이시옷의 표기등이었다. 또한 한글 지명에는 부산 방언에서 나타나는 모음의 ‘ㅡ’와 ‘ㅓ’
    의 비변별 현상, ‘ㅔ’와 ‘ㅐ’의 합류, 자음 뒤 이중모음의 제약, 구개모음 앞
    에 있는 ‘ㄱ’, ‘ㅎ’의 구개음화 현상 등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ㅅ, ㅈ, ㅊ’과 결합한 이중모음이 다른 지역보다 제한적이었다. 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은 지명은 단 하나의 형태에서 나타나며, 18세기에 완
    성된 것으로 알려진 ‘ㄷ’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은 지명도 나타났다. 또,
    경남 방언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가 불규칙
    하게 적용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ㄴ,ㄹ’ 탈락현상은 나타나지만 자음위치
    동화 현상이 반영된 지명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Joseonjijijaryo⌋ Busan Hangeul
    toponym 281 to determine transcript toponyms and analyze Chinese
    Character-Borrowing system and Hangeul orthography. We found Chinese
    Character-Borrowing system had all four general rules yet had errors in Korean
    toponyms and Chinese Character toponyms considered as non-corresponding
    toponyms. Based on the arbitrary interpretation, some toponyms found to be wrong
    and false interpretation. The study found 18 frontal part of toponyms including
    ‘Gan(澗), Gye(溪), Cheon(川), Gang(江), Gok(谷), San(山), Ryeongchi(嶺峙),
    Hyeon(峴), Chi(峙), Ya(野), Yapyeong(野坪), Pyeong(坪), Jin(津), Pogu(浦口),
    Jeeon(堤堰), Bo(洑), Mot[池], Jumak(酒幕), Seong(城). Some applied Hangeul
    orthography from 19th century or elements from Busan dialect. Distinguishing
    orthography includes usage of ‘ · ’, usage of s-series habyongbyungseo, indicating
    7 final consonant, and usage of inter siot(ㅅ).
    In addition, on Korean toponyms, we found non-distinctive phenomenon of ‘ㅡ
    [?]’and ‘ㅓ[?]’ which could be found on Busan dialect, blending of ‘ㅔ[e]’ and ‘ㅐ[?]’,
    restriction on consonants followed by diphthongs, palatalization of ㄱ[k] and ㅎ[h]
    which are positioned in front of palatalized vowels, and restriction of sibilantㅅ, ㅈ,
    ㅊ combined with diphthong. Specifically, we found the initial law was always
    applied except in one condition; we also found ㄷ palatalization was not applied
    in one region which are expected to be completed in 18th century. ㄱ palatalization
    and ㅎ palatalization were irregularly applied and used which are also vigorously
    used in Busan dialect. Finally, ㄹ, ㄴ elision was found in two toponym and we were not able to find any toponym with consonant position assimilation
    phenomen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