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圍繞精神與信仰等概念的交流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5.06 최종저작일 2014.08
6P 미리보기
圍繞精神與信仰等概念的交流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 17권 / 1호
    · 저자명 : 張 進 峰

    목차

    一、概念的層次
    二、“精神”與“危機”概念
    三、古典哲學分為“成熟哲學”與“不成熟哲學”
    四、現代精神問題是否可通過“信仰”來解決
    五、存在與精神、目的與手段、統一與分裂、一與二
    六、當今人類所面對的是什麼問題

    초록

    “精神”同“身體”一樣,是一種客觀建構,其方向一直是“合理性/合理化”方向,不存在“整體危機”之說。“危機”一詞是“宗教意義/思維/立場”的說法。是宗教思維“憂患意識”的體現。古典的“成熟哲學”作為歷史形態,已被現代性所“涵納”,古代人成熟的哲學智慧根本上解決不了現代人的“現代精神問題”;古典的“不成熟哲學”,缺乏邏輯性力度,只可作為“啟發”,而不能作為解決現代精神問題的“有效工具”。“現代精神問題”,必須通過現代人的哲學與精神發展、哲學與精神創造來解決。人是“精神之知”與“精神之行”“分裂”的動物。“信仰”只是“精神之行諸方式”中的一種,一種“狹義的精神之行”。“信仰”並不是最高的“哲學智慧”,比它更高的是“當下智慧、當下思維、當下精神”。從精神立場看,世界是“我+我的世界”,是“目的體+內蘊手段+多樣性物件”。依“我看”,“存在”的邏輯只有兩種:目的的邏輯、手段的邏輯。目的的邏輯強調“唯一、統一”,手段的邏輯強調“選擇、分裂、適用與效率的擇機”。當我們在討論“精神危機”的時候,“誰存在精神危機”?我們討論的是“誰”的精神危機?原則上說,外在於“我”的“他者”無權利、無資格、無意義討論“我的精神危機”。從“生命存在自足性——身體自足性、精神自足性”來說,任何個體都整體上不存在“精神危機”。“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話語、公共邏輯”,而非“我話語、我邏輯”。“手段邏輯”的本質是“選擇、分裂、擇機”,一個在精神上“不選擇、不分裂、不擇機”的“精神純粹”的人,是“傻瓜”,這樣的人在“公共環境”中不能“生存”。精神分裂是正常的,並不導致個體“我”自身的精神危機,它相反保全了我的生命存在與精神存在世界。“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這一形而上學的“虛擬主體”對“各種個體性”的“精神分裂式的精神手段的發展”所表現出來的“恐懼之心”。“我”(個體)的精神世界成長,是在精神分裂中成長,“分裂”終止,精神就當下整體死亡。對個體如此,對人類整體也如此。人類的社會群體生活,文化發展、制度發展,都是精神在分裂及多樣。因為分裂、多元、差異、共生共抑,人類群體生活中也存在著“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制度生態”等等。人類成員之間不會過上絕對平等的生活,一部分弱勢成員也不願過“平等”的生活(消極人權)。文明水準的提升,是精神分裂把精神世界豐富的結果。“危機”只不過是“新的文明水準尚未成型之前”所表現出的局部的、暫時的、未被整合的現象。“物質財富系統”支援著“精神結構系統”。如果沒有“物質財富危機”,那麼便不會有“精神危機”。對人類來說,精神理論形態的“精神層面”的東西,如科學、宗教、哲學是不可以統一的;但作為實踐的政治制度是可以統一的。道德整體上是不可以統一的,但法律整體上是可以統一的。一種全人類的政治制度需要有突破性的進展。一種進步的政治制度,不一定是講求絕對一元、平等的政治制度,而是尊重“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的制度。政治制度必然以“強制力量”作保障,而“強制力量”又以精神觀念之下的意志為基礎。全人類一定的精神認同是必須的。“普世價值”是必須的,但“普世價值”不能“消除其他一切價值”。人類的精神危機是“精神認同——普世價值”建立的文明性、艱難性、反復性,這是一個必要的過程,而不是要消除的東西。生理學所面對的“身體”是一個“穩定的物件”,比較容易由“科學方式”來把握。心理學所面對的“心靈、精神”是一個“無限深入、豐富的、精神自由的物件”。單純的心理學專業訓練,只能做20歲以下人的心理解析工作。當一個人具有了高度的哲學素養(認識思維、精神生活方式)成為“哲學人”之後,心理學便無能為力了。

    영어초록

    ‘정신’은 ‘신체’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객관적인 구조물이다. 그 방향은 한결같이 ‘합리성/ 합리화’를 추구하는데, 정신에 있어서
    ‘총체적 위기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기’란 것은 ‘종교의식/ 사유/ 입장’의 설법으로서, 종교사유의 ‘우환(憂患)의식’으로 구체화
    된다. 고전적인 ‘성숙 철학’(mature philosophy)은 역사 형태로서 이미 현대성에 연루되어 왔는데, 고대인의 성숙한 철학 지혜
    는 현대인의 ‘현대 정신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논리성이 부족한 고전적인 ‘미성숙 철학’(immature philosophy)
    은 영감을 줄 수는 있지만 현대 정신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도구’를 제공하지 못한다. ‘현대 정신문제’는 반드시 현대인의
    철학과 정신발전 및 철학과 정신창조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인간은 ‘정신 지식’과 ‘정신 행동’ 사이에서 나누어진 존재이다.
    ‘신앙’은 ‘정신행동의 여러 방식’ 중에 하나이며, 일종의 ‘좁은 의미의 정신행동’이다. 신앙은 또한 가장 높은 ‘철학 지혜’일 수 없으
    며, 그것에 비해 더욱 높은 ‘그 순간의 지혜, 그 순간의 사유, 그 순간의 정신’이다. 정신의 관점에서 볼 때, 세계는 ‘나+나의
    세계’이고, ‘목적체+내적 수단+다양한 목표’이다. ‘내가 보는 것’에 의거하면, ‘존재’의 논리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목적의 논리’
    와 ‘수단의 논리’이다. 목적의 논리는 ‘유일, 통일’을 강조하고, 수단의 논리는 ‘선택, 분열, 적용과 효율의 기회 잡기’를 강조한다.
    우리들이 ‘정신 위기’에 대해 논의할 때 그렇다면 과연 ‘누가 정신 위기를 가지고 있는가?’ 즉 우리들이 토론하는 것은 ‘누구’의
    정신 위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원칙적으로 말하여 나의 바깥에 있는 존재는 ‘나의 정신위기’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어떤 권리,
    어떤 자격,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생명 존재의 자족성, 즉 신체 자족성과 정신 자족성’으로부터 말해보면 어떠한 개인이라
    하더라도 총체적인 ‘정신 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의 말, 공공의 논리’이지, ‘나의 말, 나의 논리’가
    아니다. ‘수단의 논리’의 본질은 ‘선택, 분열 및 기회 잡기’이다. 정신적으로 ‘선택 안하고, 분열 안하고, 기회 잡지 않는’ 사람은
    ‘정신이 순수한’ 사람이며 다른 한 면에서는 ‘바보’이다. 이러한 사람은 ‘공공적인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없다. 정신 분열은 정상적
    이며 개인으로서 ‘나’의 정신 위기를 초래하지 않으며, 도리어 나의 생명존재와 정신존재의 세계를 잘 유지시킨다. 본성상 ‘정신
    위기’는 ‘공공’(公共)이란 형이상학적 ‘가상 주체’가 ‘각종 개체성’의 ‘정신분열 방식의 정신수단의 발전’에 대해 ‘두려움’을 표출해낸
    것이다. ‘나’(개인)의 정신세계의 성장은 정신 분열 중에서 성장된다. 그러므로 분열이 끝나면 정신 또한 곧바로 죽게 된다. 개인
    도 그러하고 인류 전체도 그러하다. 인간의 사회 단체생활, 문화발전, 제도발전은 모두 다 정신의 분열과 다양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열, 다원, 차이, 공생과 공멸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단체생활에도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민족 생태와
    제도생태’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인간 구성원들이 절대 평등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일부 약세 구성원들 또한 ‘평등한 생활’을
    원하지 않다(소극적 인권).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라 정신분열은 정신세계를 풍부하게 한다. ‘위기’는 ‘새로운 문화 수준이 아직
    이루어지기 전에’ 표출되는 일부적, 잠시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불과하다.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체계’는 ‘정신
    구조의 체계’를 지원한다. 즉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위기’가 없다면 ‘정신 위기’도 있을 수 없다. 인류에 대해 말해보면, 정신이론
    형태의 ‘정신 측면’의 것들, 예를 들면 과학, 종교, 철학이란 것은 통일할 수가 없는 것들이다. 그렇지만 실천으로서의 정치제도는
    통일할 수 있다. 도덕은 총체적으로 통일할 수 없지만, 법률은 총체적으로는 통일할 수 있다. 전 인류의 정치제도에 있어서 돌파
    적인 진전이 필요하다. 일종의 진보적인 정치제도는 절대적인 일원성(一元性)과 평등함을 추구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및 민족생태’를 존중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정치제도는 ‘강제적인 역량’으로 보증하겠
    지만 그 ‘강제적인 역량’은 정신적 개념을 기초로 한다. 전 인류의 일정한 자아동일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주적 가치’도 필요하
    지만, ‘우주적 가치’라 하여 ‘다른 일체의 가치를 제거’하면 안된다. 인류의 정신위기는 곧 ‘정신적인 자아동일성, 즉 우주적인
    가치’가 형성한 문명성, 간난성(艱難性), 반복성이다. 이것은 제거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다. 생리학의 입장
    에서 본 ‘신체’는 하나의 ‘안정적인 대상’이어서, ‘과학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리고 심리학이 바라 본 ‘마음과 정신’은
    ‘무한히 깊이 들어가고 풍부하며 정신이 자유로운 대상’이다. 순수한 심리학 전문 훈련은 20살 이하 사람들의 심리를 분석하는
    작업에서만 가능하다. 어떤 사람이 고도의 철학적 소양(인식 사유, 정신생활 방식)을 갖추고서 ‘철학자’가 되었다면, 심리학은
    그 사람에 대해 더 이상 어떤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