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보훈정책의 상징성 비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5.06 최종저작일 2005.01
40P 미리보기
남북한 보훈정책의 상징성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저자명 : 유영옥

    목차

    Ⅰ. 서 론
    Ⅱ. 남?북한 보훈정책의 상징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Ⅲ. 남북한 보훈이념의 상징적 분석
    Ⅳ. 남북한 보훈정책수단의 상징석 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초록

    남북한의 보훈정책 목적에 대한 상징성의 은유들을 살펴서 남과 북이 어떤 정
    책적 목적을 갖고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보훈정책을 시행하고 있는지 비교하였
    다. 국제적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민족통일은 절박한 문제
    이지만 동족상잔의 전쟁을 경험하였고 반세기 동안 서로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
    한 체제 경쟁은 남북한 주민들의 가치관과 이념, 문화적 이질성을 심화시켜 왔
    다. 특히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보훈정책들의 주요 상징이념과 수단들의 차이는
    통일에 기여할 수도, 방해할 수도 있는 아주 예민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보훈
    정책의 국가의 정체성과 통합의 기제로서 기능이 있으며 현실적으로 통일시 보
    훈대상자의 기득권에 대한 갈등이 필연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갈
    등은 단순한 이익집단으로서의 요구 또는 반대뿐만 아니라, 통일국가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신념에도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남북한 보훈제도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기준과 사회적 인식의 통합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는데 남북한 보훈제도가 이념과 체제의 차이로 불가피한
    상이점이 있음에도 통일 한국의 공통 지향점을 찾아가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향후 통일에 대한 남북한 보훈체계의 통합시 보훈정책의 목
    적과 수단에 있어 김일성과 김정일 정권에 대한 부분을 어떻게 탈각하고 국가와
    민족에 헌신한 보편적인 보훈정책 및 체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
    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통합의 기제를 발견하는데 있어 보훈대상자, 적용범위, 보상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남북한 주민의 지지와 순
    응을 확보하기 위한 통합 기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지금까지 분석한 남북한
    보훈정책의 상징성의 비교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서로 각기 다르게 사용된
    보훈이념의 상징성과 언어, 제도, 사건, 인물 등의 상징성에서 우선 공통분모를
    도출하여 상호 보완해나갈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We compared the political purpose and policy measures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implemented in South and North Korea through
    analysis on symbols and metaphors. The summary is in the following table.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notional unification is an
    urgent issue. However the dog-eat-dog tragic civil war that Koreans
    experienced, separation for half a century, ideology conflict, and competition
    for preservation of each social system have aggravated the difference of
    cultural, ideological and social value between citizen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policy measures and symbolic ideology
    in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between two Koreas carries very sensitive issues that can either contribute or hinder the unification process.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so far, has been functioning as a
    mechanism that ensures notional identity and unity, and there will be
    inevitable conflicts over the rights and defining beneficiaries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in the case of immediate unification. Such conflicts
    are not simply an issue of demand or resistance of an interest group, but has
    great influence and implication on the identity and social faith on a unified
    Korea in the future.
    In order to integrate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general acceptance of rational standard and integrated public
    perception is necessary. Despite some unavoidable differences stemming from
    different social structures and ideologies, active search for a common
    denominator for a future unified state should be ceaselessly conducted. The
    focus of Korea's continuous search should be on how to eliminate elements
    that force loyalty to the Il-Sung Kim / Jung-Il Kim regime in policy
    measures and the purpose of Patriots and Veterans Policy and how to create
    a generally accepted system that praises the ones who truly devoted
    themselves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For a unified Korea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unified
    system that defines beneficiaries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and
    compensation measures. Meanwhile, it is also important to unify memorial
    services that will secure compliance and support by citizens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 due to the symbolic influence those memorial services carry
    as we have seen in our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ymbolism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Policy of two Koreas. The South and the North
    need a common denominator of symbols in the ideolog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use of language, an institutional system, events, and
    personal figures that will mutually complement for unified Korea.Efforts in many aspects should be made for the unification of symbolism
    that will enhance the sense of national community and common bond among
    citizens of future unified state. Unification of symbolism will open the
    window to the constructive vision of future unified Korea, in pursuit of world
    peace and prosperity of all human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보훈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