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교육적 수월성 제고를 위한 수용요인 분석 연구: 대학의 대형강좌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03.01
25P 미리보기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교육적 수월성 제고를 위한 수용요인 분석 연구: 대학의 대형강좌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0권 / 3호
    · 저자명 : 김미량, 김태웅

    목차

    요 약
    I. 문제의 제기
    II. 이론적 배경
    1.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확산
    2. 사이버 교육 확산의 장애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III. 연구모형과 가설
    1. 기술수용모형
    2. 연구가설과 모형의 설정
    3. 설문지의 개발
    IV. 분석 결과
    1. 표본 및 자료수집
    2. 요인분석 및 신뢰도 · 타당도 검증
    3.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및 연구가설의 검증
    V. 요약 및 시사점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시사점
    참 고 문 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수업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교육적 가능성을 제공하는 혁신적 방법인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성공적 확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혁신의 능동적인 도입자가 될 수 있는 대학의 교수자들이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수용에 대해 어떤 태도와 경험을 가지며 어떤 요인들이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에 유용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주는 기술수용모형(TAM :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활용하여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의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탐색해 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사이버 교육-학습 시스템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및 용이성과 어떤 인과적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80명의 응답을 확보하였다.
    LISREL모형을 이용한 구조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의도한대로 사이버강좌의 이용의도 및 타인에 대한 추천은 기존의 TAM모형에서와 같이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 자신이 새로운 사이버 교수-학습 시스템을 이용해 보고자 할 때, 또는 이용해 본 결과, 이를 다른 교수자에게 추천하도록 하는 데에는 사용이 용이하고 그 사용의 결과 유용함이 인지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사이버강좌에 대한 태도가 기대되는 교육의 효과와 유용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이버강좌의 이용의도 및 타인에 대한 추천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사이버강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했던 교수개인의 혁신성은 사이버강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사이버강좌를 실시함으로써 지적재산이나 강의노하우가 유출될 것이라는 불안감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은 미치고는 있으나 불안감에 대한 응답의 평균이 중간이하로 큰 영향을 미친다고는 판단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설문항목과 분석도구는 대학뿐만 아니라 초?중등교육의 현장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E-Learning is another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its broadest definition, e-Learning includes instruction delivered via all electronic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intranets, extranets, satellite broadcasts, audio/video tape, interactive TV, and CD-ROM. E-learning is a networked phenomenon allowing for instant revisions and distribution, and goes beyond training and instruction to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tools to improve performance. The benefits of e-learning are many, including cost-effectiveness, enhanced responsiveness to change, consistency, timely content, flexible accessibility, and providing customer value. The proponents of e-learning stress the importance of using communities of interest to support and enhance the learning process. They also emphasizes that people learn more effectively when they interact and are involved with other people participating in similar endeavors.
    Although the role of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istance to new technology by professors and lecturers in university and colleges worldwide remains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toward e-learning class in major universities. A survey methodology was used to investigate a proposed model of influence. The model was tested using responses from 180 professors from several universit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hypothesized model was largely supported by this analysis, and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attitude toward e-learning systems is mos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Comfort, and the Efforts and Technical Support influence the Ease of Use. Attitude, Ease of use as well as the expected level of Educational Effect, in turn, influence perceptions of the Usefulness of e-learning system. As in other TAM related research,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contribute to the future use of e-learning system. This study might provide a robust set of scales which are designed to be easily generalizable to other settings such as K-12 educational system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