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이해교육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 · 중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0.01
25P 미리보기
국제이해교육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 · 중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7권 / 4호
    · 저자명 : 김아영, 박소영, 김대현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 양성과정에서 국제이해교육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
    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교직과목 내의 국제이해 교과목 개발과 관련하여 예비 교사들의 인식
    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포커스 집단 면담을 혼합한 통합연구방법을 사용
    하였다.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학생 431명이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직과목 수강자 27
    명을 포커스 다섯 집단으로 나누어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의 국제사회에 대
    한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국제이해교육의 영역 중, 환경, 기아, 다
    문화 등의 국제사회의 문제에 대해 더 관심을 보였다. 셋째, 국제이해교육 교과목 개설은 2학
    점으로 저학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적 사안을 중심으로 한 토론과 활동위주의
    수업방법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넷째, 포커스 집단 면담의 결과 실제로 학생들은 국
    제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임용고사의 부담과 관련하여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섯
    째, 예비교사들은 국제이해교육 교과목이 국제이해를 지도할 방안에 대해 배우는 방향으로
    설계되기를 희망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교직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재개념화할
    것과, 비판적 안목 형성을 염두에 둔 내용, 현장과 연계한 수업방법 개발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prospective teachers' abou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as follows; Frist of
    all, what are the level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rns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its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prospective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prospective teachers are significant? Secondly, what do they
    have opinions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and class offering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Lastly, what do they think about reasonabl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in curriculum development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o figure out the answers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employed mixed method
    by using both a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431 prospective students from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colleges took part in the study. Twenty seven
    participants were placed in each five focus group.
    In findings, prospective teachers' concerns abou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ere low. The levels of understanding about the themes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was lower than concerns.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rospective teachers in the level of concerns and
    understanding, meaningful differences were not appeared.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matter, starv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Prospective teachers preferred
    class offering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n a sophomore year with two
    credit hours. They did not agree with the need of a subject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ecause of burden from teacher employment exam.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conceptionalization of a teacher certificated course. Developing
    contents for critical thinking and field-study were additionally provided as alternatives in th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