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론肇論』 「물불천론物不遷論」에 나타나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적 논의 성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1
36P 미리보기
『조론肇論』 「물불천론物不遷論」에 나타나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적 논의 성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32호
    · 저자명 : 허인섭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승조 이전 설일체유부 이론의 중국 유입 정황 및 번역 문헌
    3. 4세기 말 번역된 설일체유부 문헌 중 물불천론 관련 사례 문장 분석
    4. 위진(魏晉) 시대 유·무(有·無) 논쟁(論爭)의 철학적 특성
    5. 『물불천론』과 관련하여 본 『중론』의 철학적 목표 이해
    6. 『물불천론』 분석: 승조의 고립적 존재규정 방식의 연원과 내적 의미 추적
    7. 나가는 말

    초록

    이 논문은 승조의 조론 물불천론 에 보이는 설일체유부적 논의의 기원
    을 추적 분석하는 글이다. 일반적으로 승조는 쿠마라지바의 중관철학을 중국에 뿌
    리내리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글 조론의 물불천론
    은 그 논의 방식이 중론의 저자 나가르주나가 극복하고자 했던 설일체유부의 논의
    방식을 재현하고 있다는 의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이러한 승
    조의 물불천론 논의방식 출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사유양태
    를 제시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세 가지는 초기 중국불교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중
    앙아시아 설일체유부의 이론과 위진시대 현학의 유무 논쟁 그리고 승조의 불완전한
    중론 이해 가능성이다. 승조는 물불천론 에서 설일체유부가 사태를 시공간적으로
    무한 분할하여 고립시켜 그렇게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한 현상을 왕필이 본무(本無)
    개념을 적용 소극적, 부정적, 정적으로 파악한 세계의 본체(本體)와 동일시하여 그
    부동성(不動性, 物不遷)을 더욱 강하게 정립시키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곽상의
    독화론에서는 보이는 차별적 현상의 개별 고립화 경향에 영향을 받아 설일체유부의
    현상의 단자화(單子化) 설명방식을 쉽게 수용했을 가능성도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
    서 보면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오독(誤讀)을 일으킨 중론의 난해성을 승조가
    온전히 극복하여 이해했을 것으로 전제하기는 매우 어렵다.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at disclosing why the Sarvasvadisns’ way of arguments were
    positively utilized in Sengzhao’s Wubuqianlun(物不遷論). Sengzhao is known a key
    person to spread out the Madhyamika philosophy in China as successor of Kumārajīva.
    However, it is frequently pointed out that his way of arguments seen in Wubuqianlun(物
    不遷論) is very similar to the Sarvasvadins’ arguments that Nāgārjuna criticized and
    overcame. This essay traced three major factors seen in early Chinese Buddhism that
    might lead the Sengzhao’s way of arguments as it is a seemingly Sarvastivadins’ way.
    The three conspicuous factors to be traced are a theory of the central Asian
    Sarvāstivāda to give a great influence on the early Chinese Buddhist scholars, the
    Neo-Taoists’ arguments of Being and Non-being in Wei Jin period, and Sengzhao’s
    incomplete understanding of Zhonglun(中論). In Wubuqianlun(物不遷論), the
    Sarvastivadins’ atomic beings resulted by spatio-temporl infinite division on phenomena
    are interpreted by the concept of fundamental nothingness(本無) of Wangbi(王弼) which
    is defined passively, negatively, and statically. Accordingly, the beings are understood as
    motionless. Moreover, it was highly possible that the theory of the exclusive
    development of all things(獨化論) asserted by Guoxiang(郭象) enhanced Sengzhao to
    accept the Sarvastivadins’ ontology easily. In terms of the above three factors, it is very
    hard to regard Sengzhao’s arguments seen in Wubuqianlun(物不遷論) as the arguments
    to follow properly Nagarjuna’s Zhonglun(中論) that has resulted many misinterpretation
    until now because of its difficulty of meaning deco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