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음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연장되어 있는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25P 미리보기
마음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연장되어 있는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31호
    · 저자명 : 고인석

    목차

    Ⅰ. ‘연장된 마음’이라는 개념
    Ⅱ. ‘동등성 원리’ 대 ‘결합-구성 오류’
    Ⅲ. 이 논쟁의 성격, 그리고 ‘두개골 안쪽’이 지닌 한 가지 특이성
    Ⅳ. 평범하지만 합당한 절충안, 그리고 다시 남는 선택

    초록

    앤디 클락과 데이빗 찰머스가 1998년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 “The
    Extended Mind”는 ‘연장된 마음’이라는 키워드를 철학의 주제로 부상시켰다. 그런
    데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인지 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프레드 애덤스와 켄 아이자
    와는 일련의 공동 작업(2001, 2005, 2008, 2009, 2010)을 통해 일관되게 비판을 전
    개했다. 특히 두 사람은 앞의 두 저자가 제시했던 ‘동등성 원리’의 관점에 근거하
    여 전개된 마음 경계 확장의 논의를 ‘결합-구성 오류’라는 굴레를 씌워 비판한다.
    애덤스와 아이자와의 비판은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두개골외부주의의 근간
    을 공격하는 것인 동시에 ‘연장된 마음’이라는 프로젝트의 토대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검토의 가치가 있다. 당사자인 클락을 비롯한 여러 논자도 애덤스-아이자와
    의 이런 비판에 맞서 대응하면서 논쟁이 전개되었다. 이 논문에서 필자의 목표는
    두 진영 간의 논쟁을 고찰하여 거기서 상이한 방식의 개념 적용 등으로 인한 일종
    의 말다툼에 해당하는 부분과 알짜 논쟁에 해당하는 몫을 구별하고, 알짜 부분에
    대해 가능한 만큼의 판정을 내리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쟁의 무게중심이 “이 사람
    아, 그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지!”투의 대립에 있다고 보며, 이처럼 일종의 프로그
    램 선전전에 해당하는 양편의 대립은 상당 부분 상식적인 절충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 논쟁에는 표현 방식과 강조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절충 가
    능한 대립 이외에 어느 한편의 결함으로 지적할 만한 요소도 있고, 나아가 향후 인
    지 연구의 철학적 기반에 관한 어떤 불가피한 선택의 요구도 함축되어 있다.

    영어초록

    Andy Clark and David Chalmers's seminal paper “The Extended Mind”(1998)
    launched a research program that would be named after the title of the paper. But
    Fred Adams and Ken Aizawa criticize this program in a series of papers and one
    book, expecially by attacking the parity principle that Clark and Chalmers take to
    be a basic principle of the extended mind program. According to Adams and
    Aizawa, they commit a ‘coupling-constitution fallacy’. I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debate between these two camps that also implies confrontation of
    extracranialist view with intracranialist view of the mind. My analysis suggests
    that substantial portion of this confrontation lies in a verbal dispute, or a
    propaganda battle between two competing research programs. This kind of
    confrontation could in principle be conciliated by a reasonable third position that
    invokes a complementarity (or integrative) viewpoint. But I propose here one
    salient argument against Clark and Chalmers.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biological cognitive system (i. e. brain) and a complementary artefact,
    which means a chasm within the allegedly extended cognitive system. The latter,
    but not the former, needs mediation of a proper interpretive system in order to be
    a functioning part of the whole cognitive system. Intracranialist program and
    extracranialist one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But we should make a choice
    between the two, when we come to the questions about ontological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t be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