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에 나타난 실존 인물의 의미화와 전승주체의 의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6
43P 미리보기
설화에 나타난 실존 인물의 의미화와 전승주체의 의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6호
    · 저자명 : 한정훈

    목차

    1. 머리말
    2. 인물 담론과 주조된 형상
    3. 설화의 전승과 선택된 인물상
    4. 설화 속 인물에 투영된 전승주체의 의식
    5. 맺음말

    초록

    정평구 설화는 조선 후기와 근대에 형성됐던 건달형 인물전설의 유형에 포함된다. 하지
    만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과 정평구의 생존 시기는 상당히 큰 격차를 보인다. 정평구는 비공
    식적 담론에서 임진왜란 당시 비차를 개발한 인물로 이야기된다. 정평구는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신문에서 비차를 개발한 민족의 문화영웅으로 언급되었다. 반면 전북 김제를 중심
    으로 전승된 이야기에서 정평구는 거짓말과 사기를 잘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지역에서
    전승되는 이야기 속에는 문화영웅으로서 정평구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일제강점기에
    김제 지역의 유학자 유재 송기면은 「정평구전」을 저술하였다. 「정평구전」을 통해서 당시
    지역에서 전승된 정평구 설화의 실체를 조금이나마 짐작할 수 있다. 유재 송기면은 「정평
    구전」에서 거짓말과 사기를 일삼는 정평구를 시대와 접속하지 못한 비운의 인물로 형상화
    하였다.
    구비 전승되는 설화에서 정평구는 건달형 인물이 지닌 특질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거
    짓말과 사기, 정주성을 탈피한 이주성을 강하게 지닌 정평구는 어긋난 행위를 통해서 세상
    과 갈등을 빚고, 웃음과 해학으로 세상을 유린하기도 한다. 또한 정평구는 다른 지역의 건
    달형 인물전설을 흡수하여 자기의 이야기로 만들기까지 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정평구 설
    화를 보편적인 건달형 인물전설이 지닌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가 전승되는
    지역의 특이성과 맥락을 지어서 의미를 분석했다. 이야기 전승주체는 정평구에게 문화영웅
    이나 민중적 영웅, 이인으로서 모습을 요구하지 않았다. 과거부터 지닌 지역의 특이성에서
    이야기 전승주체는 자신의 결핍을 수용하면서 세계와 대면하고, 그 과정에서 승리할 수 있
    는 건달형 인물로서 정평구를 원했다. 이야기 속에서 정평구가 세계를 변혁하지는 못하지
    만, 전승주체는 문학적 유희를 통해서 자신의 결핍을 충족하고 모순을 잠재한 세상을 인식
    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s included in the type of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which were formed in the late Joseon and early modern
    period.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 universal scamp-like
    person and Jeong Pyeong-gu in their life days. Jeong Pyeong is said in informal
    discourses to be a person who developed Bicha ‘flying car’ at the time of the
    Korea-Japan War. He was referred to by some newspapers publish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ational cultural hero who developed Bicha.
    On the other hand, a story transmitted in areas around Gimje, Jeonbuk, he
    is depicted as a character who is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We
    cannot see the cultural hero Jeong Pyeong-gu in stories transmitted in loc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Yujae Song Gi-myeon, a Confucian scholar
    in the Gimje area, authored Jeong Pyeong-gu Jeon ‘The Story of Jeong
    Pyeong-gu.’ From Jeong Pyeong-gu Jeon, we can conjecture the substantial
    aspects of the Jeong Pyeong-gu folktale, though just a little, which was
    transmitted in the area at that time. In Jeong Pyeong-gu Jeon, Yujae Song
    Gi-myeon depicted him as an unfortunate character who was not able to
    contact with the times though he was well accustomed with lying and
    cheating.
    In orally transmitted folktales, Jeong Pyeong-gu strongly shows features of
    a scamp-like person. Jeong Pyeong-gu, a person of lying and cheating who
    strongly has migratory nature rather than sedentariness, makes trouble for the
    world with his abnormal behavior, and infringes the world with his laughter
    and humor. Also, he absorbs legends of scamp-like people from other areas
    to make them his stories. However, this paper does not interpret the Jeong
    Pyeong-gu folktale in the sense of a universal legend of a scamp-like person,
    but does analyze its meanings in association with the uniqueness of the areas
    where the tale has been transmitted. The story transmitter does not require
    Jeong Pyeong-gu to be a cultural or popular hero, or a superman. Admitting
    his or her own deficit, the story transmitter faces the world, and through the
    course, wants Jeong Pyeong-gu as a scamp-like person who can take the
    victory.
    Though Jeong Pyeong-gu cannot reform the world in the folktale, the
    transmitter meets his or her own deficit and recognized a potentially
    contradictory world through literary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