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휴대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O/D 추정기법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1
10P 미리보기
휴대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O/D 추정기법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교통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교통학회지 / 23권 / 1호
    · 저자명 : 김시곤, 유병석, 강승필

    목차

    Ⅰ. 서론
    Ⅱ. 기존 연구 고찰
    Ⅲ. 휴대폰 기지국 기반 O/D 추정기법 및 적용
    Ⅳ.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초록

    통행기종점(Origin-Destination)은 경로 선택 및 통행 배정 등 교통계획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 중 하나이다. O/D 예측은 대부분
    현장 조사나 가구 면접조사를 통하여 표본 O/D를 산출하고 이를 전수화하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고, 가로 교통량과 통행배정모형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동적 O/D를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휴대폰 보급의 괄목할만한 증대에 따라 휴대폰 정보를
    이용하여 O/D를 추정하는 연구에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폰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O/D 추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휴대폰 기지국 기반 O/D를 행정동 기반 O/D로 변환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를 위해 청주시에서 운행중인 택시에 GPS 장비 및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GPS 위치 좌표, 휴대폰 기지국
    좌표를 수집하였고, 이중 3주간의 자료를 디지털 맵에 맵매칭시켜 기지국 위치 기반 O/D와 GPS 위치 기반 O/D를 산출하였다. GPS
    위치 기반 O/D를 이용하여 주간 O/D 통행패턴, 주중 O/D와 주말 O/D 통행패턴, 일평균 O/D와 오전·오후 첨두시 O/D 통행패턴 사이
    의 관계를 산점도 및 상관계수로부터 유추한 결과, 주중 O/D와 주말 O/D간에는 통행패턴에 차이가 있으며, 오전 첨두시와 오후 첨두시
    의 통행패턴 역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대폰 기지국 기반 O/D를 행정동 기반 O/D화하는 방법으로 GPS 분포비를 이용한 방법과 기지국 커버리지 면적비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두 방법 모두 참 O/D라 생각할 수 있는 GPS 위치 기반 O/D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상관계수, 평균절대오차율(MAE),
    제곱근 평균제곱오차(RMSE)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향후 휴대폰 정보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기지국 커버리지 면적비를 이용하
    는 방법을 이용하면 O/D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의 표본 택시 O/D를 전수화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n Origin-Destination (O/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route choices and trip
    assignments. A household interview survey is deemed to be the traditional a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making
    sample O/D and its conversion to the total O/D. Some researchers have studied to estimate dynamic O/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ink volumes and trip assignment model. Nowadays, owing to the recent rapid spread of cellular
    phon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ular phone through the Base Station(BS)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O/D
    estimation.
    In this study, the methodology of generating BS-based O/D and the methodology of converting this O/D into an
    administrative district-based O/D are proposed. The information of GPS positions and cellular BS positions have
    acquired by establishing GPS equipment and cellular phone on taxies in Cheongju. Three weeks data are collected and
    used in estimating O/D by matching them on a digital map. Scatter diagram and sa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similarity of the GPS-based O/D pattern among weeks, among days, and among times in da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fe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eek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O/D pattern
    between weekday and weekend. Furthermo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orning peak and afternoon peak.
    Two methodologies are proposed to convert BS-based O/D into an administrative district-based O/D. The first one
    is to us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GPS coordinates, the other is to use the coverage area of the BSs. To validate
    such converted O/D, GPS O/D is used as a true value. The statistical analyses through scatter diagram, MAE and
    RMSE shows that there is few significant difference of pattern between the estimated BS-based O/D and GPS O/D.
    In the case of using only cellular information, the methodology using coverage area of the BSs is recommended for
    estimating O/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교통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