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감성지능의 학습유형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 타당도 검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7.06
21P 미리보기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감성지능의 학습유형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 타당도 검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1권 / 1호
    · 저자명 : 강명희, 구나현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감성지능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
    하는 변인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오프라인 학습, 온라인 개별학습, 그리고 온라인
    팀 학습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를 감정인식/표현, 감정
    이입, 감정의 사고촉진, 감정지식의 활용, 감정조절의 다섯 가지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감성
    지능이 Blended Learning의 세 가지 학습유형별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인가로 설정하고, 63
    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감성지능과 그 다섯 가지 하부영역들의 학습 유형별
    학업성취도에 대한 예측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학습유형별 학업성취도를 개별 종속변인으로 설정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성지능은 오프라인 학습과 온라인 개별 학습의 성취도
    를 예측하는 변인은 아니지만 온라인 팀 학습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즈음 학습의 주요 변인으로 인식되고 있는 학습자의 감성지능
    이 다양한 학습형태를 혼합하고 있는 Blended Learning 환경 중에서 특별히 온라인 팀 학습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학습자의 성취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변인으로 규명되어, 향후 온라인 팀 학습
    설계에서는 학습자의 감정지능을 고려한 설계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After Salovey and Mayer(1990) had given a defini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has been
    spread into the field of learning and general public. It claim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s the academic success and even the success of life. Not many studies, however,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t still
    is under discussion of the predictive valid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with various types of learning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crete study questions
    were drawn as follows:
    1.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does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in offline learning?
    2.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does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2-1.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does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in online individual learning?
    2-2.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does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in online team learn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using 63 colleg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was divided into 5 sub-factors. The achievement of offline learning using
    two quizzes and of online individual learning with web-based portfolios and of online team
    learning with web-based team project were measu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was not a signigicant variable to predict achievement in offline
    learning. All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in offline learning. It suggested the probability that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would not predict the result of cognitive tests such as written examinations.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rived between learners'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and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r = .369). The result of dividing the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into that of individual learning and that of team learning
    indicat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s predictability on the latter, F(1, 61) = 8.404, p < .05,
    β= .348, while it had no predictability on the former. It could not be concluded that this
    difference in the finding was caused by difference in learning mode, but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difference was caused by difference in learning formats of team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i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no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in online individual
    learning.
    Third, out of sub-factors of learners' emotional intelligence, only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achievement in online team learning. This
    finding indirectly prov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was related to factors such as abili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ve spirit, ability to settle conflict necessary for performing a
    team project. That is, it could be inferred that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would affect
    those abilities necessary for team learning and draw high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studies:
    First, future study is needed to observe the progress and change of th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long-term experiment. Second, Various types of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face to face discuss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which should be thoroughly investigated
    in future. Third, cumulative results of studies that can generalize predict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established. Fourth, studies on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ther variables which affect academic achievement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