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 가족부양자에 대한 개입의 효과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05
27P 미리보기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 가족부양자에 대한 개입의 효과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6권 / 2호
    · 저자명 : 김수영

    목차

    1. 연구목적 및 의의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4. 프로그램의 내용과 진행전략
    5. 연구결과
    5. 제반 특성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의 집단간 비교
    6. 결론 및 논의

    초록

    본 연구는 치매노인과 뇌졸중노인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집단차원의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개입의 효과성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내용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개입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으
    로, 사전사후검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유사 전-후 실험 통제집단 연구설계를 이용하였다. 사전사
    후검증을 모두 마친 가족들은 42명인데, 그 중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25명이었다. 개입의 효과성
    을 파악하기 위해 부양부담 척도와 주관적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가족들은 개입 이후로 부양부담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관적 삶의 질은 차
    이가 나타났다. 대상노인의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치매노인, 노인의 상병기간이 짧을수록, 장
    애정도가 낮을수록 가족부양자의 삶의 질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가족의 특성별로는 남
    성, 고학력, 젊은 부양자일수록 삶의 질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효과성을
    전제로 할 때 우선적인 개입이 필요한 취약한 가족부양자 집단을 확인하였고, 프로그램은 가족의 특성
    별로 특화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program which aims at education/training caregivers of the dementia and/or stroke
    elderly. This program was conducted at group level.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were the primary caregivers who have taken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or strok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giver education/training program,
    this study employed an quasi-experimental design: to compare pretest score with
    posttest ones for the same participants. Total forty two primary caregivers have
    completed the program. Seventeen caregivers were in experimental group, whereas
    twenty five ones belonged to control group. Our data suggest that, for the primary
    caregiv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was more important than cargiving burden.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the caregiver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is result suggests that a short-term intervention program
    at group level is not effective to reduce caregiving burden because an infra structure
    of community resources, to which the caregivers and their family access, did not
    remain at sufficient level.
    However, participants have showed improved mutual solidarity, and they have
    exposed to wider spectrum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s a result, they have
    perceived that the level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has positively changed.
    Additional factors have influenced o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caregivers. The caregivers, whose demented elderly showed lower level of ADL and
    IADL, or who have experienced the short period of caregiving,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higher level of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caregivers were
    even more improved in the following group: being young, and highly educated,
    man. One of the contributions from this study is that we have found caregiver's
    characteristics, which need an intervention most. In addition, our study implies that
    specific contents of the caregivers' education/training program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each family's unique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