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一考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관한 一考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7권
    · 저자명 : 이명제

    목차

    Ⅰ. 머리말
    Ⅱ. 인식의 전거-⌈燕行雜錄⌋의 내용과 저술 태도
    Ⅲ. 인식의 변용-대청인식의 계승과 전유
    Ⅳ. 인식의 확장-세계관의 재구축
    Ⅴ. 맺음말

    초록

    ⌈燕行雜錄⌋은 1822년 연행에 참여한 조선 지식인의 저작이다. ⌈연행잡
    록⌋은 16권 16책의 거질로 중국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내용과 인문지리학
    적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부분은 ?연행잡록?
    이 포괄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이 북경과 중국을 넘어 세계를 담아내고 있
    다는 점이다.
    ⌈연행잡록⌋의 지리적 외연의 확장은 대청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청조가 번영을 구가하면서 18세기부터 조선 지식인의 청조에 대
    한 평가는 변화하기 시작하는데, 특히 ‘북학파’라 불리는 일련의 지식인 그
    룹에 의하여 청조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연행잡록⌋은 이러한 18세기 연행의 성과들을 수용하면서도 이전 시기
    에 비하여 무비판적으로 청조를 긍정하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18세기의
    지식인들이 청조를 세밀한 관찰의 대상으로 여긴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청조의 실제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의존의 대상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세계관을 재구축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연행잡록?은 청조를 천하의 중심으로 인정하고 기존에 포섭되
    지 않았던 여러 국가들을 청조 중심의 질서에 편입시키는 작업을 진행한
    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우선 명말의 지리서인
    ⌈廣輿記⌋의 체재와 내용을 수용하여 명대에 구축되어 있던 중화질서를 청조에 이식하였다. 두 번째로는 ⌈광여기⌋에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해
    西學 수용의 논리였던 ‘중국원류설’을 차용하여 중화질서로 포섭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연행잡록⌋에 드러나는 대외인식의 단면들을 살펴
    보았다. 이는 북학으로 대변되는 18세기 후반의 성과를 일정부분 수용하
    면서도 청조에 대한 종속성을 심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관을 재정립
    하는 과정이었다.

    영어초록

    Yeonhaengjamnok (燕行雜錄) is a travelogue of the 1822 envoy
    from Joseon to Qing, which is written by an anonymous Joseon
    intellectual. It contains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of Chinese
    humanities, sociology, and geography at the time, in vast volume. The
    geographic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ravelogue has an especially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e book is
    representing a widened world view of the author who grasped the
    world outside China.
    This widened perception of the world was derived from the shifting
    view on Qing China in chuson at the time. As Qing enjoyed its
    prosperity, Joseon intellectuals in the 18th century started to see Q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 group of scholars called ‘Bukakpa
    (School of Northen Studies)’ among the intelligentsia of Joseon pursued
    to learn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Qing and tried to see Qing with
    an objective point of view.
    The author of Yeonhaengjamnok accepted this new perspective and
    expressed an uncritical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Qing’s prosperity
    in his book. He regarded Qing as something his country should rely on, unlike those Bukakpa scholars who tried to carefully observe and
    analyze Qing.
    His perspective on Qing is well reflected on his widened world
    view. In Yeonhaengjamnok, Qing is described a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those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cino-centric order of Ming are newly accepted as a part of Qing’s new
    hegemony. The author adopted the world view of a renowned
    geography a book from the late Ming China, Guangyuji (廣輿記), and
    established Qing’s world order based on that. He also accepted ‘the
    theory of Chinese Origin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used it to
    insert the areas that were not included in Guangyuji into Qing’s world
    order.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widened world view represented in
    Yeonhaengjamnok. The changed perspective enables ones to understand
    the re-establishing process of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world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to see how the tradition of Northen
    Studies in 18th century was appreciated in the following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