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寂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06
36P 미리보기
義寂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6권
    · 저자명 : 최연식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의 현황
    1. 1940년대∼1970년대
    2. 1980년대∼1990년대 전반
    3. 1990년대 중반 이후
    Ⅲ. 향후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초록

    의적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40
    년대부터 60년대에 걸쳐 일본 중세 정토신앙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일본의
    정토신앙 관련 문헌에 의적의 저술이 빈번하게 인용되는 것에 주목하여
    그 일문들을 모아 ?無量壽經述義記? 輯逸本을 편찬하였고, 나아가 그 내
    용에 의거하여 의적의 정토사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는 역시 일본의 불교 문헌들에 인용되고 있는 의적의 ?大
    乘義林章?과 ?梵網經菩薩戒本疏?의 사상 내용이 검토되면서 정토사상만
    이 아니라 유식사상과 계율사상에서도 의적이 다른 사상가들과 구별되는
    독자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일본 불교계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60년대부터 80년대에 걸쳐 신라 정토사상 및 대승계율사
    상의 흐름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의적의 ?무량수경술기?와 ?범망경보살계
    본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검토되었다. 이 과정에서 원효, 경흥, 태현 등
    대표적 신라 불교사상가들과 의적의 사상적 同異點이 자세히 밝혀졌다.
    아울러 국내에 전하는 의적 관련 전승 및 자료들을 검토하여 화엄종 의상
    의 제자로 알려진 의적이 실제로는 화엄학승이 아니라 유식학파의 승려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이 시기 일본에서는 의적이 편찬
    한 ?法華經集驗記?가 새롭게 발굴, 소개되었다. 90년대 이후에는 국내와 일본에서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
    화되었다. 유식학 관련 저술의 일문들이 폭넓게 수집, 검토되어 그의 유식
    사상이 중국 법상종 주류와는 구별되는 일승적 측면이 있음이 논의되었다.
    또한 ?법화경집험기?와 ?法華經論述記?에 대하여 책의 구성 및 편찬 배경,
    중국의 관련 문헌들과 비교 등의 검토가 있었고, 이를 통해 정토사상, 유식
    사상에 이어 법화사상가로서 의적의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게 되
    었다. 한편 일본의 도서관에서 ?무량수경술기? 일부의 원본이 확인, 공개
    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하여 의적의 사상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었지
    만,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그의 다양한 사상 내용 중 한 측면만을
    살피는데 그치고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
    였다. 기존 연구 대부분이 그의 저술 중 하나 혹은 둘 정도만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교학의 내용을 검토하였을 뿐 다른 교학과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지 못하였다. 이런 점에서 의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기초적 단계를 넘어섰다고 보기 힘들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의적의 저술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많이
    나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Research on Uijeok’s thought was initiated by Japanese scholars
    who had studied Japanese medieval pure land beliefs. In scrutinizing
    the Japanese pure land literature, they found not a little citations of
    Uijeok’s Commenatry on Amitabha Sutra were shown in the literatures.
    They edited collections of the citations and started to study Uijeok’s
    understanding on the pure land belief. During the late of sixties and
    early seventies other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Yogacara thoughts
    and Buddhist Commandments also found that Uijeok’s other books,
    such a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had given not a little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m
    and started to examine them.
    In Korea, from sixties to eighties when some scholars tried to
    systemize Shilla Buddhist thoughts, his Commentary on Amitabha Sutra
    and Commentary on Indra’s net Sutra were scrutinized and his thoughts
    on pure land belief and Buddhist Commandm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hilla monks such as Wonhyo, Taehyeon and Gyeongheung.
    And some scholars who examined his works and some fragmentary
    records on his life argued that he had been much more a famous Yogacara scholar than a Huayan monk, though some records tells that
    he was a disciple of Uisang, the founder of Korean Huayan school.
    During the same period another work of Uijeok, the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was found in Japan.
    Since the nineties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have developed
    much more. Some scholars scrutinized the citations of his the Explanations
    on Mahayana theories, the minute cathchism on Yogacara philosophy,
    remained in some Japanese literatures. They found out that his
    Yogacara thought had some peculiarities in some important aspects and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Yoagcara scholars. Others examined the
    contents and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works on
    Lotus Sutra, the Commentary on Lotus Sutra Sastra and Compilations of
    Miraculous records related to Lotus Sutra, and compated them to the
    similar contemporary Chinese works. Through these, Uijeok came to be
    recognized as a great scholar whose interests covering not only the
    pure land belief and Commandment thoughts but also the Yogacara
    philosophy and Lotus Sutra. Now he was regarded one of the great
    Buddhist generalist of Shilla.
    Despite of these recent developments, most of the studies on
    Uijeok’s thoughts dealt only one aspect of his thoughts and failed to
    examine Uijeok’s thoughts comprehensively. There have been no trial
    to compare and synthesize all of his works. In this sense the research
    on Uijeok’s thoughts can be said to be still in the rudimentary level.
    Now the studies trying to synthesize and characterize his thoughts by
    comparing all of his works ar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