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어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의 성과 평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28P 미리보기
외국어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의 성과 평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2권 / 4호
    · 저자명 : 이재덕, 차성현, 정성수, 이희숙, 김혜영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외국어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의 성과와 개선 방안
    Ⅵ. 요약 및 결론

    초록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기주도학습
    전형은 외국어고등학교 입학을 위한 과도한 경쟁과 사교육비 지출을 억제하기 위해 2011년에 도입되
    었다. 이에 따라 외국어고등학교의 학생선발에서 필기고사의 활용이 제한되었고, 학생선발은 학교생활
    기록부 등의 서류전형과 심층 면접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지난 3년간의 정책 성과 분석을 위하여 평가
    틀을 개발하였으며, 전국 31개 외국어고등학교의 학생, 교사, 입학담당관 등 총 4,650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인재양성의 기초 마련이라는 평가 기준에서 볼 때 자기주도학
    습전형 이전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학습 및 진로선택 태도와 교우관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 설립 목적에 맞는 학생 선발이라는 평가 기준에서 보
    면, 면접 점수 영향으로 최종 합격한 학생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교육활동에 대해 이전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진학 시 전공 일치도는 어문계열의 비율이 높지는 않지만 지속
    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시 사교육비 증가에 대한 대응이라는 평가 기준에서 보면,
    사교육비와 사교육 참여율을 이전보다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기주도학습전형 준비 과정에서 사교육이
    일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목고 입학경쟁 완화 및 중학교 교육 정상화 기준에서 보면,
    입학 경쟁률은 적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의 도입 이후 중학교 교육활동
    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기주도학습전형 정책은 정책
    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성공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dmission policy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for the past three years. This admission policy
    was designed to curb excessive competition and spending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to enter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Since 2011, the schools have been prohibited from any type of written
    admission tests and thus have selected their students through the screening of school records and
    the in-depth interview by admission officers. In conducting performance evaluation, the study
    developed evaluation framework and surveyed a total of 4,650 students, teachers, and admission
    officers in 31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evaluative criterion was whether the admission
    policy contributed to cultivation of creative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entered the schools through the self-directed learning admission process has been
    improved especially in Math and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and better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career choice than those who
    entered the schools through written admission tests. The second one was whether the schools selected
    their students in a proper way to accomplish the original goal of the schools. The result showed that
    in-depth interview has been more influential in getting admission and the students have felt more
    satisfied with school education than their counterpart.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chosen
    their college major in the field of language or literature has been steadily increased, but it is still small.
    As for the third one related to private tutoring, the study found that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and
    its expenditure have steadily decreased, while private tutoring has still occurred in preparing for
    applicant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 In terms of normalization of middle school education that is
    the fourth criterion, admission competition for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has lessened and middle
    school eduction has been much normalized. From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dmission policy was successful on the whole and should be continu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