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억의 전달을 위한 기념관의 역사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0
22P 미리보기
기억의 전달을 위한 기념관의 역사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교육연구 / 12권
    · 저자명 : 박희명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기념관의 역사교육
    Ⅲ. 백범김구기념관의 역사교육
    Ⅳ. 나오는 말

    초록

    기념관은 단지 마음에 간직하기 위해 건립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로 대표되는 공동체의 기억을 현재의 관점에서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교육기능의 수행을 목적으로 건립되고 있다. 기념관은 세대들의 기억 속에서 삶의 지속성을 보장해 주며, 역사와 세대를 잇는 매개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기념관이 존재하고 있는 이유이며 의미라고도 할 수 있다. 기념관의 역사교육은 과거를 체험할 수 없는 후속 세대에게 문화적 기억을 공유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기념관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념관들은 다양한 교육을 운영하기 보다는 전시 자체로 기억을 전달하는 역할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기념관 역사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백범김구기념관의 사례를 통해 향후 기억의 전달을 위한 기념관의 역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백범김구기념관의 교육은 눈으로 확인이 가능한 물품중심이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정신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백범김구기념관에서는 2003년 스토리텔링 기법의 전시해설을 시작으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연계 교육, 신문만들기와 연극놀이를 활용한 체험형 교육을 설계, 운영해 오고 있다. 학교교육과는 달리 비연속적이고 비정규교육이며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기념관 교육에서 역사를 통한 스스로에 대한 존재론적 의미를 찾기란 쉽지 않다. 이에 백범김구기념관의 교육은 백범 김구를 이해할 수 있는 독립운동(근현대사), 백범일지(백범김구의 생애), 나라사랑, 통일(반편견), 문화의 다섯 가지 주제를 기반으로 교육을 설계하고 있고 각 교육들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어떤 교육을 받더라도 ‘백범 김구’와 그가 실제 했던 당시의 시대상과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여러 단계의 심화과정을 설계하여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을 심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기념관의 역사교육은 과거의 역사적 기억, 의식, 상상력에서 현재의 우리가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기념관의 역사교육은 시간의 연속선생에 존재하는 과거, 현재, 미래의 소통을 위해 과거의 역사와 기억을 현재적 시점에서 미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영어초록

    Memorial Museum have been built to perform functions of education which delivers memories of communities exemplified by history to the present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s from the view point of the present time, not to keep them in mind. They assure persistence of generations’ lives in their memories and play the role of media which connects history and generations to each other. These are the reason and meaning that they exist. Their historic education consists of the forms that next generations cannot experience the past can share cultural memories. New memorial museums have been built every year. However, most of them focus on the role which delivers memories to people as exhibition itself rather than operating various education. Therefore, this writing tries to examine the meaning of history education of memorial museums and think of the directions that their history education should move forward to deliver memories in the future through the case of Kim Koo Museum & Library. Kim Koo Museum & Library’s education aims at delivery of invisible spirit or ideas, not focusing on visible objects. It has planned and operated education which connects schools to each other through analyses of educational courses and experience-typed education which utilizes making newspapers and play by starting with exhibition explanation. Unlike school education, it is not easy to find the meaning of existence of viewers themselves through history in general education of the memorial halls done by their volunteer participation which is non-continuous and irregular. Therefore, education of Kim Koo Museum & Library is connected to five subjects which aims at the independence movement(Modern history), Paikbum IlJi (Kim Koo’s life), patriotic spirit, unification(Anti-bias), and cultural education to each other and is composed to understan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people that he actually lived with even though viewers receive education in any place. And it is designed to make them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advanced processes of several stages about one subject repeatedly. Education of memorial museums should suggest how to talk about the past freely in its historic memories, 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and make people prepare their future. That is, history education of memorial Museum should be responsible for playing the role of delivery of the past’s history and memories to the future from the present for communication amo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hich exist in time continu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