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결합법칙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2.01
20P 미리보기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결합법칙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2권 / 1호
    · 저자명 : 이종각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열과 출세주의 교육관
    Ⅲ. 동기체제로서의 교육열과 그 생태적 환경
    Ⅳ. 교육열의 운동법칙
    Ⅴ. 교육열의 결합대상과 전달성
    Ⅵ. 교육열의 결합구조와 목적-수단의 연쇄망
    Ⅶ. 교육열의 결합법칙
    Ⅷ. 결론: 교육열의 자원화를 지향하며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고는 교육열에 대한 비난을 넘어서서 입시지옥 현상이나 과열과외 현상 등과 같은 교육열
    현상으로부터 법칙적인 질서를 발견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교육열의 운동법칙’과 ‘교육열의
    결합법칙’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교육열을 동기체제로 파악하고 이러한 동기체제가 출세욕구와
    교육열 생태환경(사회환경)과 어떻게 작용하고 움직이고 결합하는가를 밝히려 한다.
    필자가 하고 있는 교육열에 대한 작업은 나름대로 차별성이 있다. 첫째로 기존의 연구들은 교
    육열을 설명해보려는 ‘설명대상으로서의 교육열’을 다루었다면, 필자는 교육열 자체를 분석대상으
    로 취급하고, 한국교육의 여러 현상에 대한 ‘설명요인으로서의 교육열’을 다루고자 한다. 둘째로,
    교육열 자체와 교육열 현상과 그 밖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제대로 분석해 내려면, ‘교육열’이라는
    개념 하나만으로는 개념적 도구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관련 개념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교육열 기본형’, ‘교육열 초기화’, ‘교육열 현재형’ ‘교육열의 속성’, ‘교육열 생태환경’ ‘교육열
    의 운동법칙’과 ‘교육열의 결합법칙’, ‘교육열 전달성’ 등의 개념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념들을 분석도구로 하여 교육열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하나씩 전개해 가고 있다. 교
    육열의 운동법칙 3가지는 한국 사회에서 출세의 의미와 깊은 관계가 있다. 그리고 교육열 운동법
    칙의 하위법칙으로서 교육열의 결합구조를 분석하고 결합법칙을 3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분석
    을 토대로 기존의 교육열 정책을 분석하고, 교육열을 어떻게 자원화 할 수 있는가를 설명하는 것
    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영어초록

    As one of serial studies which aim to find orders and regularities of the phenomena of educational
    zeal such as the hell of entrance examin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logical processes for
    developing the motion laws of educational zeal and its sublaws, I.e. the linkage laws of educational
    zeal.
    The author does a distinguishable work on educational zeal. First, he tries to analyze educational
    zeal itself, its substance, while others try to explain the phenomena of educational zeal. Second, he
    tries to develop relevant concepts such as ‘prototype of educational zeal’ ‘initiation of educational
    zeal’ ‘present type of educational zeal’ ‘the motion laws of educational zeal’ ‘the linkage laws of
    educational zeal’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educational zeal’ and ‘transmission of educational
    zeal.’ Third, he tries to analyze the phenomena of educational zeal mainly with those developed
    concepts while others try to explain the phenomena of educational zeal with other factors.
    The author finds three motion laws of educational zeal which are closely based on the idea of
    ‘chulse,’ I.e. ‘climbing the ladder of success’ of their sons and daughters.
    1. Educational zeal moves to the educational scenes which have more influences on the status
    mobility.
    2. Educational zeal moves to the educational scenes which have more influences on the living
    deserving of human dignity.
    3. Educational zeal in each period moves to the educational scenes which have higher social
    values after graduation, institutionally or customarily.
    The three linkage laws which are sublaws of the motion laws of educational zeal are as follows.
    1. Educational zeal primarily links with those means which are more effective in achieving
    children's social success in life.
    2. Educational zeal has high tendency to link with those effective means whatever the economic
    burden is.
    3. Educational zeal shows positive tendency to find newly linking educational scenes and means
    when the given means are prohibited or restrained.
    However, most of these kinds of analyses are the beginning steps in studying educational zeal.
    With those concepts and some more new concepts, we can analyze a lot more about the phenomena
    of educational zeal and the policy relevant to educational zeal. Moreover, policy makers need to have
    wisdom to use peoples' educational zeal, beyond blaming i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