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스스로 농촌학교로 간 도시교사들의 기대와 갈등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1
26P 미리보기
스스로 농촌학교로 간 도시교사들의 기대와 갈등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3권 / 1호
    · 저자명 : 정운기, 김미숙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Ⅲ. 농촌학교에 대한 경험과 인식: 보람, 갈등, 모순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농촌학교로 전근 간 도시 교사 9명에 대한 이야기다. 이들은 인사제도에 의해
    서 또는 연고로 농촌학교에 간 것이 아니라, 자녀교육과 농촌생활을 원해서 그리고 학생들
    을 잘 가르치기 위해서 농촌에 갔다. 참여 교사들은 교사 의존성이 도시보다 높은 농촌학생
    들을 가르치는 보람을 느끼면서도, 도시처럼 질 높은 수업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힘들어
    했다. 이들에게 적절한 수업은 도시 중산층 가정 학생들이 보여주는 “관리된” 생활태도와
    심리적 상태 그리고 적절한 “학습준비도”가 전제된 것이었다. 한편 농촌 소규모 학교에서
    “인화(人和)”를 강조하는 교직문화는 충실한 수업과 수업연구보다 친목을 강조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힘들게 하였다. 공문처리와 장거리 출장은 농촌소규모 학교 교사들의 수업집중
    을 저해하는 또 다른 요인이었다. 자발적으로 농촌학교에 온 도시 교사들이 가장 갈등하는
    것은 불편한 생활환경보다 “충실한 수업”을 하기 어려운 여건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자녀들
    이 다니는 학교라서 더욱 “충실한 수업”이 되려고 노력하는 한편, 자신을 포함하여 다른 교
    사들의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여건에 대해서 매우 예민하게 반응했다.

    영어초록

    In Korea, there is increasing social gap between city schools and rural schools. One of the
    reasons is that teachers prefer city schools to rural schools except some teachers who want
    promotion. This study explore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nine teachers who voluntarily
    moved from large city schools to small agricultural elementary schools. They got transferred to
    rural schools because of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freer and more comfortable living.
    Working in rural schools, they frustrated with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realize quality class,
    since students did not have proper learning readiness caused by poor family background. Their
    quality teaching is based on proper students who are well cared and managed by urban middle
    class parents. Another problem is that small rural school cultures to emphasize harmony among
    teachers often kept them from preparing for class and instead promoted mutual friendship. It
    prevented them from rational decision making, following views of the eldest or the boss.
    Frequent official documents and trips are another elements that they could not concentrate on
    teaching and teaching preparation. In conclusion, they had negative views on working in rural
    schools not because of inconvenient living conditions but because of educational systems and
    cultures that do not value enough teaching and learning and that they could not realize quality
    class as they expected. It is because they are teachers and also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their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