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99.01
25P 미리보기
한국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엄소연

    목차

    Ⅰ. 들어가는 말
    II. 우리나라 박물판교육의 역사
    1 일제시대의 박물관교육 : 식민지 ‘국민교육’
    2. 해방 후 - 1976년까지의 박물관교육 : 국가 또는 민족 정체성 추구
    3. 1976년 이후의 벅물관교육 : 문화주체성 찾기
    Ⅲ. 박물관교육 사례분석 : 국립박물관을 중심으로
    1.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교육
    2. 다른 국립박물관의 박물관교육
    Ⅳ. 우리나라 박물관교육의 문제점
    V. 맺는말
    참고문헌

    초록

    박물판교육이란 박물관이 주체가 되어 설행히는 사회교육활동으로서 수집 ? 보존 · 천시 (전시
    는 ‘전시실 내 교육’으로 박물관교육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와 함께 박물관의 주요 기능중의 하
    나아다. 넓은 의미에서 박물관이 수행하고 있는 모든 활동들은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즉 생활도구, 의례용품, 그렴 , 지구과학적 표본, 역사적인 공예품 등 각종 유물의 수집 , 전시
    기획 및 특별 행사 등이 박물관교육에 포함된다 좁은 의미에서의 박물관교육은 성인과 어린이
    를 위한 가르침과 교육행사를 일걷는다
    초기의 박물관교육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다가 차츰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어 오늘
    날에는 일반대중을 의욕적으로 박물관교육으호 끌어들여 그들이 지식을 전수 받는 것은 물론
    박물판에서의 활동을 즐기면서 다양한 정보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박물관교
    육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박물관 수장품을 관람객들의 요구와 흥미에 알맞게 연결시켜 주
    는 일이다. 이론적으호 이 연결은 가능한 역동적이고 유연해야 한다 그러나 개별집단과 개인 들은 각기 서로 다른 욕구와 흥미를 지니고 있으며 , 따라서 동일한 수장품에 대한 설명일지라
    도 대상에 따라 그 수준과 설명방식이 달라야 한다(Hooper-Greenhill , 1991 : 3).
    빅L물뺀1서의 배움「은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에게도 전통적인 교실분위기에서 재현되는 방식
    이 아닌 뭔가 색디흔 경험이어야 한다 그리고 박물관교육은 i영생교육이라는 기본 이념으로 이
    루어져야 한다 즉 배움은 평생을 통해 계속되며, 배움이 제도적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마한다. 박물관교육운 교육 대상자 중심의 다양하고 쉬운 방식으로 박물관 건
    물 안에서는 물론 건물 바깥에서도 할 수 있어야 한다. 박물관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수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1] 와서 엄청난 경험을 체험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경험이 반드시 교육적인 것만은 아니다 경험이 교육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직접적이고 기슴
    에 와 닿아야 한다.

    영어초록

    Paralleling the growth in numbers comes a major development in the opportunities open to
    museums to play an important part in shaping cultural perceptions within their communities.
    as people everywhere become more aware of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Traditional concepts of what a museum is. and how it should operate. are confronted by
    contemporary intellectual. social and political concerns which deal with questions like the
    validity of value judgements bias in collecting and display. the de-mystifying of specialist
    knowledge.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nature of our place in history.
    This study focuses on the growth and deployment of museum education of Korea which are
    related with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Korean museum and museum education
    are ref1ected the ideologies such as follows;
    . Aggression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lony education
    . 1945-1976 : pursuit to the ‘Nation or People Identity'
    . 1976-present seeking the ‘Cultural Identity'
    Museum serves learning opportunities to the publics as a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Aggression Period of Japanese ImperiaJism. museum and 'museum education' were
    functioned as a tool because of the instilling the colonic ideology into the Korean people.
    Korean museums(especially national museums)were fully ref1ected the social ideology of those
    times on the 'museum education'. It was the main idea of museum that edified the people
    with ruler' s ideology. As a result. museum education direct or indirect connected with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ose times.
    For the purpose of well managing of the museum education. we have to prevent the
    scattered or non-planed management. Museum education has to be planed and coherent carry
    out in the nation' s education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