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讀解와 記憶에 대한 세 가지 硏究 接近方法의 理論的 考察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86.01
15P 미리보기
讀解와 記憶에 대한 세 가지 硏究 接近方法의 理論的 考察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24권 / 1호
    · 저자명 : 盧命完

    목차

    Ⅰ. Introduction
    Ⅱ. Frederiksen's Semantic and Logical Network
    Ⅲ. Bransford's Constructive Approach to Comprehension and Learning
    Ⅳ. Rumelhart's Story Grammar and Schema Theory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문 요약)

    초록

    今世紀 초엽에 이루워진 人間의 言語理解와 記憶에 대한 Huey(1908)와 Bartlett(1932)의 연구는 행동주의로 인한 약 반 세기의 공백기간이 지난, 70년대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Huey는 眼球運動을 중심으로 文字知覺과 讀解에 미치는 言語의 중요성을 밝히려 노력하였으며, Bartlett는 認知過程에서 일어나는 讀者의 旣存知識의 機能과 記憶構造(知識構造)의 理論化에 보다 큰 관심을 기울였다. 이 두 연구는 7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言語學, 認知心理學, 人工知能의 統合科學이라고 할 수 있는, 認知科學의 礎石 되었다.
    讀書過程을 글과 讀者와의 相互作用의 過程이라고 볼 때, Huey의 연구는 글에 대한 연구에 가깝다고 할 수 있으며, Bartlett의 연구는 讀者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연구의 판정은 讀書에 대한 최근 연구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 論文은 글에 대한 연구로서 Frederiksen의 글 구조 분석과 讀解過程 모형을, 그리고 讀者의 旣存知識에 대한 연구로서 Bransford의 構成的 讀解過程과 Rumelhart의 이야기 文法(story grammar) 및 스키마(schema) 이론을 살펴보았다.
    Frederiksen은 讀解過程연구를 위해서는 읽기의 대상이 되는 글과 독자가 읽고 난 후 재현하는 回想文(recall protocols) 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이 먼저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두 가지의 글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구안하였다. 이 틀은 글의 意味構造와 論理構造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意味構造는 글의 의미를 命題(proposition) 단위로 분석함을 뜻하며, 論理構造는 의미의 단위인 命題들 사이의 關係構造를 뜻한다. 성격상 의미구조에서는 각 명제들 사이에 독립성이 유지되지만 논리구조에서는 각 명제들 사이가 관계구조로서 位階性을 띈다.
    Frederiksen의 讀解過程모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글에 분명하게 진술된 意味의 確認過程이며, 다른 하나는 글에는 분명히 진술되어 있지 않지만 讀解過程에서 推論되어 구성되는 意味의 創出過程이다. 따라서, 記憶 속에 表象되는 글의 意味는 글에 직접 표현된 의미와 독자가 독해과정에서 창출하여 낸 의미의 복합 형성체이다.
    Bransford는 文章의 기저를 이루는 深層構造로부터 직접 의미를 번역해 내는 言語學的 解釋理論(interpretive)을 비판하면서, 記憶은 文章이 기술하고 있는 意味狀況의 統合的인 構成이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Frederiksen의 讀解過程 모형 중 후반부 과정인 意味의 創出過程을 더욱 확대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Bransford 의하면 讀解는 독자가 갖고 있는 旣存知識과 글에 쓰여진 정보 사이의 관계를 끌어내는 과정이다. 따라서, 讀解結果는 글에 나타난 정보 이외에 독자가 주체적으로 추가한 의미까지 포함한다. 이 때 글이 하는 역할은 讀解過程을 유도하여 주는 刺戟體 또는 指示에 불과하며, 讀解能力은 전적으로 讀者의 認知的 貢獻에 의존된다고 볼 수 있다.
    Bransford는 그의 構成的 讀解過程에 기초하여 記憶에 대한 意味特性模型(semantic feature model)을 비판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學習이나 成長은 글에 쓰여진 정보를 기존 지식 정보와 비교하여 새로운 점을 알아내는 과정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Bransford는 讀解나 記憶을 讀者가 갖고 있는 槪念이나 意味特性들의 관계로만 설명하려고 하는 종래의 입장들을 “記憶比喩”(memory metaphor)라고 이름 붙이고, 그의 주장을 “段階造成比喩”(stage setting metaphor)라고 부른다. 段階造成比喩에 의하면, 독자의 사전 知識이나 經驗은 받아들이는 정보를 해석하여 줄 뿐만 아니라, 적절한 해석을 내리기 위한 週邊條件(boundary constraints)을 아울러 造成하여 준다.
    Rumelhart 는 表層構造와 深層構造를 구분하는 變形生成文法에서 힌트를 받아 아이들이 즐겨 읽는 이야기를 構造化하여 分析할 수 있는 이야기 文法올 최초로 구안하였다. 그의 이야기 문법은 이야기의 話素들(categories) 사이의 관계를 統辭規則과 意味規則으로 나누는 二重分析을 시도하고 있다. 이 規則들은 變形文法에서와 같이 反復循環的이다.
    Rumelhart의 이야기 文法은 여러 실험연구들을 통해 그 心理的 實際性이 입증되었다. 이야기 文法의 心理的 實際性 입증은 이야기 문법을 이야기 스키마 (story schema)로 바꾸어 認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즉, 文法的 槪念에 입각한 이야기 자체의 構造分析으로부터 사람들이 일상 갖고 있는 많은 知識 중의 하나로서의 이야기 스키마 (story schema)로의 변화이다.
    위에서 살펴 본 세 硏究者들은 그들의 일차적인 관심과 내용에 대한 접근 방법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讀解와 記憶 過程을 글에 표현된 정보와 독자의 사전지식 사이의 再構成 過程으로 본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며, 바로 이런 觀點으로 인해 構成主義者들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