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호대학생의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 정도와 감염관리 이행도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8P 미리보기
간호대학생의 다제내성균에 대한 지식 정도와 감염관리 이행도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초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14권 / 1호
    · 저자명 : 김경미, 김옥선, 전미양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초록

    환자의 치료 혹은 치료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항균제를 사용하고 있으며(Kim & Choe, 2001), 항균제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여러 약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이 발생한다. 의료기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다제내성균에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과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등이 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1968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이후 1990년대 초에는 입원한 환자에서 검출된 황색포도알균 중 20-25%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었다(Boyce et al., 1994). 1999년 미국 전국병원감염감시(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NNIS) 자료에 의하면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검출된 황색포도알균의 50% 이상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었으며(NNIS, 1999), 2003년의 조사에서는 59.5%로 증가하였다(NNIS, 2003). 또 다른 대표적 다제내성균인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1999년 미국 전국병원감염감시 자료에 의하면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검출된 장알균의 25%가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었으며(NNIS, 1999), 2003년 조사에서는 28.5%로 증가하였다(NNIS, 2003). 국내에서의 다제내성균 분리율은 균주에 따라 미국과 다소 양상이 다르다. 2004년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의 전국 16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병원감염감시 결과(Kim et al., 2004)에 따르면 병원감염 원인균이었던 황색포도알균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이 93%, 장알균 중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13.9%였으나 2010년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 전국 중환자실 병원감염감시 결과 보고(Kwa et al., 2010)에서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88.9%,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27.1%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2004년에 비해 4.4% 감소하였으나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194.9% 증가하였다. 미국과 국내의 다제내성균 검출률을 비교해 보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미국에 비해 검출률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의 경우에 과거에는 미국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으나 점차 검출률이 증가하여 최근에는 미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국내의 다제내성균 검출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1; Park et al., 2007).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compliance level of nursing students. It was based 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bout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s). Methods: The test group was 184 nursing students who had contact with MDRO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September 16, 2011. Results: The average knowledge level of MDROs was 16.20 (correct answer rate: 67.5%). The nurses’ compliance level of MDROs infection control was on average 40.50 (range: 13-52). “Hand hygiene” ranked highest in the compliance level of MDROs infection control. The lowest level of MDRO infection control was the wearing of disposable aprons or gown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the compliance level of infection control. We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receive mandated systematic education of MDROs in the nursing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MDROs infection control is required in hospitals. These steps will help prevent transmission of MDROs in nursing set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