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 병사 복무부적응 식별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1.06
35P 미리보기
군 병사 복무부적응 식별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군사회복지학 / 4권 / 1호
    · 저자명 : 한상황, 송미림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부적응 병사의 식별과정 및 관련 지원 실태의 문제점
    Ⅴ. 부적응 병사의 식별과정 및 지원의 개선방안
    Ⅵ.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무청의 징병검사 제도와 입대 전 부적격자식별,
    신병훈련소 교육 전 입소 대대 식별, 신병훈련소 식별, 자대배치 후 실시되는 병사의 부적
    응 식별과정의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삼았다.
    구체적으로 제시한 부적응 병사의 식별과정 및 지원의 개선방안은 첫째, 병무청 징병검
    사 단계에서 병역법 제 17조를 개정하여, 징병검사 시행 인원을 늘리고 검사기간을 연장하
    여 부적격자 식별능력의 강화 및 검사의 내실화를 기하고 고교 생활기록부 제출의 대상을
    전 장병으로 확대한다.
    둘째, 보충대대 및 사단 신교대로 입소하는 병사의 입소기간을 4일→ 5일로 연장하여 부
    적격 인원 식별가능성을 늘려야 한다. 또한 허약체질 및 정신질환자, 훈련병 교육수료 기
    준 미달자는 엄격히 관리하고 기준에 따라 공익요원근무로 전환시켜 사고를 방지하며, 수
    료자의 병과별 특기부여 시 전공을 고려한 적임자를 선발하여 부적응을 예방한다.
    셋째, 각급 지휘관, 중간지휘과자 및 주임원사의 의사소통 능력신장을 제고하여야 한다.
    아울러, 전문상담관(군사회복지사) 확충과 민간 상담관의 연계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선에서의 복무부적응 판정 처리절차를 간소화 하여 지휘관의 지휘부담 및 행정소요를 감소시키고, 군정신과 진료체계의 개선 및 민간병원과의 협진체제 구축으로
    복무부적응 병사들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지원토록 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and problems of a physical
    examination system for conscription by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n-qualified persons before joining the army and identification of
    entering battalion before the training from a training camp, identification of recruit
    training center and identifying process of maladjustment of soldiers that is
    implemented after they are assigned to their own military bases and at suggesting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his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s study.
    The identifying proces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support for maladjusted
    soldiers that were concretely suggested are as follows.
    First, Clause 17 of the military service law needs to be revised at the phase of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by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so that
    the personnel to implement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period of examination can be extended to pursue intensification
    of the ability of identifying non-qualified persons and substance of the examination
    and the subject to submit a student record during high school needs to be
    extended to all soldiers.
    Second, the period of entering supplementary battalion and a recruit training
    camp of a division must be extend from 4 days to 5 days for recruits so that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non-qualified persons can be increased. Besides, those who
    have a weak constitution and are mental patients and are not qualified for the criteria to complete the training must be strictly managed and be converted into
    public service workers to prevent an accident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and
    the maladjustment can be prevented by selecting well-qualified persons considering
    their majors when granting a specialty for each branch of the military service of
    those who completed the course.
    Third, the adv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commanders of each rank,
    the middle commanding officers and chief sergeant major must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professional consultants (a military social
    worker) and to have connection with civil consultants.
    Finally, by simplifying the processing procedure of judgment for maladjustment
    of service in the front lines, the burden of command of commanders and the
    required administrative affairs can be reduced, and good-quality medical service
    must be provided to maladjusted soldiers by improving the medical treatment
    system of military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establishing joint treatment system
    with civil hospita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군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