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체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9.03
19P 미리보기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체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3권 / 1호
    · 저자명 : 윤양진, 박정유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운영했을
    때 초등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변화와 건강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줄넘기 운동의 효과성을 파악하여 초등학생들의 줄넘기 지도를 위해 도움을 주는 방향을 제시하며,
    학교스포츠클럽활동 활성화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M초등
    학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학교스포츠클럽 줄넘기부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
    들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설문조사와 건강체력을 측정하여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
    교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
    고,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적용실태를 파악하였으
    며, 이를 토대로 줄넘기를 활용하여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건강체력 변화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초등학교 체육교과 수업 및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줄넘기
    를 활용하기 위한 교수전략을 제공하기 위해 10개월 동안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줄넘기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신체적 자기
    개념 변화가 나타난 것은 연간지도계획 수립 및 초등학생 특성에 맞는 줄넘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같이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학생, 학부모, 지도교사 모든 교육주체가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했으며, 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가할 의지를 갖도록 동
    기를 부여해 줄 수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교스포츠
    클럽활동 줄넘기부 활동에 참여한 실험반 학생들의 건강체력에 변화가 나타난 것은 10단계로 구분
    되어 있는 줄넘기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운동능력을 파악하여 줄넘기활동을 수행한 결과
    자신의 체력 변화정도와 결과를 바로 알 수 있었던 점과 단계에 따른 체력인증서 수여와 같은 피드
    백 활동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is to get a lin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nging
    physical self description, and their improving physical strength. This is based 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using the jump-roping approval program, providing the direction for the
    children's rope-jumping, offering the basis of the activation in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I compare the results of a preliminary inspection and a post facto inspection through the
    measuring of a questionnaire in physical perception and of physical strength as the object of
    the study in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mparison class.
    The analysis of the survey used a prima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official
    approval using SPSS 13.0, and grasped the actual application condition through the program
    testimony of jump-roping in an actual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is, I was achieved a
    program of activation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y using jump-rop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chool sports club activity, analyzing the students' physical self
    description changes, improving their physical strength, providing a teaching strategy using
    jump-roping, I come to a conclusion about physical exercise subject lessons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for this research of 10 months.
    1) Using the approval of jump-roping program, students are concerned about the exercise of
    jump-roping, changing students' physical self description, changing everyone who helps the
    students, parents of students, teachers interested in leading the interests of the students like
    founding an annual guidance plan and developing a jump-roping program making the mos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ccepting the requests of students and motivating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continuously.
    2) The change of physical strength among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 joining in
    school sports club activity of jump-roping, using the jump-roping approval program, can be
    learned by knowing the outcome in their strength change. Feedback activity, like giving a
    strength approval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stages, and carrying out the understanding of
    their own exercising ability through the 10 stages of the jump-roping approval program is also
    very help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 of application of learning
    through play which is used for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lay could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learning ways to have the students motivated for science and for them
    to study active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