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군대를 대비한 민과 군의 준비방향에 관한 제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6
21P 미리보기
다문화 군대를 대비한 민과 군의 준비방향에 관한 제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군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군사회복지학 / 3권 / 1호
    · 저자명 : 최선애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
    Ⅲ. 다문화 군을 대비한 민과 군의 준비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최근 한국사회는 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출산율 저하에 따른 인구감소로 병역 자원 또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우리나라는 외국계 주민이 100만명을 넘어서면서 상대적으로 출산율이 높은 다문화 가정 출생 자녀들의 입대가 증가하게 될 전망이다. 농촌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의 국제결혼 여성이민자, 외국인 노동자, 북한 탈주 새터민 등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다문화 사회로의 빠른 진입은 학연, 지연, 혈연 의식이 강하며 단일민족 국가라는 동류의식이 강한 우리 사회가 다양한 문화, 인종, 종교, 제도 언어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그 다양성을 수용하기에는 사회적으로 성숙되지 못한 가운데 군에도 다양한 피부색, 언어, 풍습, 문화, 종교를 가진 장병들이 입대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가적으로 체계적인 준비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사회와는 달리 군은 군을 유지하기 위한 조직의 특수한 문화와 군법이 존재하는 재사회화의 조직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에 대한 준비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조직의 특성상 그 다양성으로 인하여 전투력 저하는 물론이고 존립의 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수 인종을 우리의 주류 문화에 흡수하고, 동화시키려 하기보다는 다양성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가치관을 함양하며, 이해와 배려를 통한 단결과 화합의 병영문화는 군의 단결과 화합을 통한 전투력 향상과 국가 발전, 사회통합은 물론 더욱 강한 군으로, 다문화 사회를 선도하는 국민 교육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 장병과 우리 군의 실태를 살펴 보고 다문화 군대에
    대비한 민과 군의 준비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Korea is experiencing the diminishing trend of military personnel due to the lowering of the birth rate tha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ow fertility rate and rapid ageing. Against this demographic backdrop, it is expected that the enlistment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ll increase dramatically in the near future, as the birth rate among international migrant residents, who now exceed 100,000 in number, continues to remain high. These demographic changes due to the sudden intake of North Korean refugees, South and Southeast Asian migrant brides in the countryside, and migrant workers in large numbers are expected to give a cultural shock to mainstream Koreans who are used to the norm of ethnic homogeneity and the strong sense of kinship, blood ties, and regional ties, resulting in immature entry into a new age of multiculturalism, where the main stream cannot easily accept the diversity of skin colors, languages, culture, and religions. Even as Korean society remains unprepared for this rapid cultural diversification, the Korean military must accept military draftees who have a diverse range of skin colors, languages, culture, and religions, making it necessary for us to seriously hammer out ways of accommodating these new changes. Unlike the societies of diverse ethnic groups, the military, which has specific organizational hierarchies that are different from ordinary societies, may suffer from unwarranted reduction in combat capabilities and possibly from the threat of survival, if it is not ready to deal with the diversity issue, because the military has to maintain its peculiar organizational culture and military rules through the resocialization of its personnel, which is considered to be pivotal for the survival of the military as a whole. Instead of assimilating minority draftees into mainstream cultu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Korean military accommodate cultural diversity and inculcate a new culture of respecting and tolerating diversity, so that a new barrack culture of unison and cohesion can encourage high morale, high levels of combat capability, social cohesion, and national development, all of which will make the Korean military a new national education center that leads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ow we can prepare for the upcoming multicultural military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reality within our military and proposing directions of preparation for the civil society and the military.

    Key words : multicultural society, military culture, military role, the popular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군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