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 공간 개선에 있어 사용자 참여디자인이 갖는 효용성 및 참여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12
19P 미리보기
학교 공간 개선에 있어 사용자 참여디자인이 갖는 효용성 및 참여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6권 / 4호
    · 저자명 : 신나민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의 배경
    Ⅳ. 연구 방법
    V. 연구 결과 및 논의
    VI.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최근 들어 고성과 디자인과 지속가능한 학교환경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공간 환경의 디자인이 학생들의 수행 및 신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문화로 행복한 학교 만들기’ 사업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사용자 참여디자인이 학교 건축에 있어 어떤 효용성을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참여디자인 과정의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사업에는 2개 초등학교와 3개 중학교가 참여하였으며 이 가운데 4개 학교가 화장실을 문화, 휴식 공간으로 개보수 하였고 1개 초등학교는 유휴교실을 북카페로 개조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설문에는 5개 학교에서 학생 798명과 교사 134명이, 인터뷰에는 28명의 학생과 20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학생과 교사의 학교 공간 디자인 참여는 그 결과에 대한 만족도와 개인의 수행 변화에 대한 인지 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공간 개선에 대해서는 학생보다 교사 집단이 더 많이 참여하고, 더 많이 만족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디자인 참여 방법으로는 설문조사, 회의, 워크샵, 체험 활동 등이 사용되었으며, 참여자의 범위와 규모는 사안 별로 또 학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과 교사들은 주로 자신의 요구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참여의 의의로 여기고 있었으며, 의사결정은 학교주도형, 디자이너 주도형, 절충형의 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사례로 수행된 연구이지만 학교공간 환경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고조되고 국내의 학교 신개축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시점에서 교육 정책 결정자와 학교 건축 디자이너들에게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효용성 및 방법론에 대한 통찰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and method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the context of school refurbishment with cases of 5 schools (2 elementary and 3 middle schools) which took part in the ‘Happy School Project’ granted by the Ministry of Sports, Culture, and Tourism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08. In the project, 4 schools had undertaken the refurbishment of restroom while 1 school converted a vacant classroom into a student lounge called ‘book cafe’.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ering questionnaire surveys with 798 students and 134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before and after the refurbishment in the respective 5 schools.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too, were carried out with 28 students and 20 teachers, in total, at the sites of each schools. The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1)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design proc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as well as the perceptions of behavioral changes as a result of the project; (2) teachers reported a higher level of participation than did the students, showing a greater level of satisfaction as well with the project; (3) the methods used for the participatory design included a questionnaire survey, meeting, workshop, and hands-on activity; (4) the students and teachers found it their roles to state their opinions and needs with regard to the space concerned, showing varying levels of engagement; and (5) roughly, 3 types of decision-making process were observed: that is, school-driven, designer-driven, and a mixed approach between the two. In any these 3 cases, though, it was critical for the participants to feel that their participation was fruitful and respected by the design expert whom they worked with. The results may provide design and education communities with some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a successful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design in improving school spaces and building environments in general.Key words : School space, school architecture, participatory design, student participation, teacher participation, efficacy of participatory design, methods of participatory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