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러닝 콘텐츠 설계를 위한 텍스트 축약 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6
40P 미리보기
이러닝 콘텐츠 설계를 위한 텍스트 축약 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5권 / 2호
    · 저자명 : 김세리

    목차

    Ⅰ. 문제 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Ⅱ. 사례 분석 및 이론적 고찰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초록

    이러닝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환경에서는 전자 매체의 물리적인 한계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들의 활용으로 인하여, 대다수의 텍스트가 역동적인 형태로 변형되고 의미가 요약되는 ‘축약(reduction)’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연구는 텍스트의 축약 활동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러닝에 적합한 형태로 텍스트를 변형하는 과정을 위한 메시지 설계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주제로서 1) 축약의 주요 활동, 2) 축약 활동의 절차, 3) 축약의 투입․과정․산출물의 세 가지를 상정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인의 이러닝 설계․개발 전문가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본적인 축약 사고 활동을 관찰하기 위한 사고 구술(think-aloud)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구술 자료를 분석하여 축약 활동 및 코딩 체계를 추출하기위한 방법으로 Guba와 Lincoln(1985)의 단위화와 범주화 기법, Holsti(1969)의 범주 정리 규칙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물로서 총 49가지의 세부 활동을 포괄하는 22가지 주요 과제, 그리고 이러한 과제들을 개념적 차원으로 포괄하는 10가지 활동 국면이 확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물을 토대로 활동간 관계와 절차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코딩 체계를 활용하여 피험자들의 활동을 에피소드(episode) 단위 활동으로 분류한 후 이에 대한 축약 활동 빈도․시간소요량․절차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및 피험자 사후 보충 면접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투입 요소 및 산출 요소를 비교하여 축약물의 변형 양상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축약의 과정은 크게 나누어 내용 및 단서에 해당되는 ‘투입 활동(input)’, 축약 과정이 본격적으로 일어나는 ‘활동 절차(process)’, 그리고 이러한 절차를 거쳐 시각적․언어적 요소들이 통합된 복합적 축약물을 만드는 ‘산출(output)’의 국면으로 구조화되었다. 투입 활동에는 ‘축약자 단서’와 ‘텍스트 단서’, ‘축약의 목표 및 용도’, 그리고 ‘축약의 기술 및 도구’가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출물은 시각적 정보의 증가와 언어적 정보의 감소, 그리고 이러닝 기능을 통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요 국면의 하위에 포함되는 활동의 내용과 절차는 총 11가지로서, ‘인식 및 분석’, ‘선택’, ‘일반화’, ‘원형 생성’, ‘구조화’, ‘정교화’, ‘시각화 및 통합’, ‘시각적 확장’, ‘결과물 정련’, ‘결과물 수정 및 보완’, ‘정교화․성찰․반복 전략의 활용’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텍스트 축약 활동 내용, 활동의 절차, 축약 투입․결과물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포함한 기초 이론과 이에 따른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과의 분석 및 논의에 근거하여 연구의 한계점과 관련된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ext reduction based onprinciples of cognitive structure in e-learning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 text reduction process, three major research themes were explored: 1) major reduction activities, 2) procedures of the reduction activities and 3) input, process, and output products of reduced text. The subjects were 10 expert volunteers who are designing e-learning cont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ethod of think-aloud during text reduction activities, over the period of two months, in either computer lab or subjects’ own house. In order to establish a framework to analyze main activities and procedures, a coding schem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ink-aloud data. Using the coding scheme, the main activities and procedures were drawn from the think-aloud protocols. The reduction results such as input and output elements were analyzed and finally they were integrated into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ext redu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text reduction can be structured into roughly three phases: 1) input phase, which is the starting point and where the cues are fed, 2) process phase, where the reduction process actually take place, and 3) output phase, where the visual/verbal elements combine to produce complex reduction result. Observation results show that text cues, reader cues, purpose of text reduction and reduction technology/tools play a major part during the input phase. In the output phase, visual data increase dramatically, verbal information decreases, and the technically available elements were integrated. The specific elements in the sub-phase of process include major activities and procedure as follows: Schematizing and Analysis, Selection of Main Idea, Prototype Development, Development of General Concepts and Propositions, Structuring Main Contents Frames, Elaboration, Integrating visual and language elements, Integrating E-learning Functions, Aesthetic Design and Refinement, Modification, and Utilizing Elaboration, Reflection and Repetition Strategies. The study discusses possibility of establishing basic theory on text reduction and it suggests a conceptual model of text redction procedure along with the text understanding, summarization and visualization strategies for the text redu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Key words : e-learning, text reduction, cognitive structure, text summarization, text, electronic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