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은행의 파생상품업에 대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적용의 법적 문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48P 미리보기
은행의 파생상품업에 대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적용의 법적 문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은행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은행법연구 / 1권 / 2호
    · 저자명 : 고동원

    목차

    Ⅰ. 머리말
    Ⅱ. 현행 은행의 파생상품업 규제 내용
    1. 총 설
    2. 은행법령상의 파생상품업 규제의 내용
    3. 외국환거래법령상의 외환 관련 파생상품업규제의 내용
    4. 외환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은행법 적용의 문제
    Ⅲ.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파생상품업 규제 내용
    1. 서 설
    2. 파생상품의 정의
    3. 파생상품업의 분류
    4. 신고에 의한 파생상품업의 계속적인 영위 허용
    Ⅳ. 법적 쟁점의 검토와 문제점
    1. 신고 제도의 문제점
    2. 허용되는 파생상품업의 범위 문제
    3. 외환 파생상품 거래에 대한 자본시장법의 적용문제
    4. 이중 규제의 문제점
    Ⅴ. 개선 과제
    1. 업무 확대 필요-국내 파생상품시장에서의 장내 파생상품의 투자중개업 및 투자매매업 허용 필요
    2. 인가 요건의 차별화
    3. 파생상품업의 겸영업무화 및 겸영업무의 사전신고제도로의 변경
    4. 통합 금융법의 제정 필요-이중 규제 문제점의해결 방안
    Ⅵ. 맺음말

    초록

    2009년 2월 4일부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이라
    한다)이 시행된다. 자본시장법은 현행의 「증권거래법」, 「선물거래법」, 「간접투자자산
    운용업법」, 「신탁업법」,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 및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 」등 6개 자본시장 관련법들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법이다(법 부칙 제2조). 이 법은 단순히
    기존 법률들을 통합한 것에 머물지 않고 규제 체제의 변화 등 그 내용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변화를 담고 있다. 우선 금융투자상품의 포괄적인(comprehensive) 정의를
    통하여 다양한 금융투자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었으며(포괄주의 규제 체
    제), 기능별 규제(functional regulation) 체제의 도입을 통하여 금융기관에 상관없이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자본시장법이 적용되도록 하며,1) 금융투자회사는
    증권업, 선물거래업, 자산운용업, 신탁업 등을 직접 겸영할 수 있게 허용하면서 부
    수업무의 포괄적 허용, 소액결제 업무의 허용, 외국환 업무 범위의 확대 등 금융투
    자회사의 업무를 확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투자자
    에 대한 설명의무의 강화, 겸업에 따른 이해상충 방지 체제 구축 등의 새로운 내용
    이 포함되어 있다.2)
    기능별 규제 체제를 표방하고 있는 자본시장법에 따라 은행의 경우에도 자본시장
    법상의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이 법이 적용되게 된다. 자본시장법상의 금
    융투자업은 금융투자상품(즉 증권 및 파생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투자매매업, 투자중
    개업, 투자자문업 및 투자일임업과 집합투자업3) 및 신탁업을 말한다. 현재 은행은
    은행법령 및 관련법령에 따라 일부 증권업,4) 일부 집합투자업,5) 신탁업 및 파생상
    품업6)을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은행이 이러한 업무를 계속 영위하는 경우
    에는 자본시장법이 적용되게 된다.
    특히 자본시장법은 파생상품을 증권과 더불어 금융투자상품의 하나로 규정하여
    금융투자업(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등)의 대상으로 함으로써 금융기관의 파생상품업
    에 대해서는 자본시장법이 주된 규제 법규가 된다. 따라서 은행이 파생상품업을 영
    위하는 경우에는 은행의 업무에 대해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은행법뿐만 아니라 자본
    시장법도 적용되게 된다. 이 글은 바로 이런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은행이 파생상품업
    을 영위할 때 자본시장법이 적용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II.에서는 현행 은행의 파생상품업 규제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며, III.에서는 자본시장법상의 파생상품업 규제 내용에 대해 고찰하고,
    IV.에서 법적 쟁점이 되면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살펴보며, V.에서는 그 개선 과제
    를 생각해보기로 한다.

    영어초록

    On February 4, 2009, the Act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hereinafter the "Capital Market Act") will become effective. One of the conspicuous
    features of the Capital Market Act is to pursue the so-called "functional regulation" system.
    Thus, as long as a bank is engaged in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which include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such a bank will be subject to the Capital Market Act. It is
    noted that further, on such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a bank is regulated by the Bank
    Act. Hence, unlike a financial investment company, which will be only subject to the
    Capital Market Act, since a bank is regulated by such two laws, it would be big
    burdensome to the bank.
    This article is to review such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on a bank'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First, the Capital Market Act allows
    a bank to continue it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within the scope of the currently
    permitted business by filing a report to the regulator, even though, in fact, it is regarded
    as being almost equivalent to the approval system. Currently, a bank is allowed to engage
    in OTC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business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guideline of a bank's ancillary business. In addition, although more
    or less controversial, a bank is permitted to engaged in overseas on-exchange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to a limited extent. Therefore, a bank will be permitted
    to keep on engaging in such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es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This article, however, argues for permitting a bank to conduct domestic on-exchange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businesses. In addition, still the problem of a
    double regulation exists: in other words, the Capital Market Act as well as the Bank Act
    will apply to a bank'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In order to rectify such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first, the regulator define its function clearly on regulating such a bank's
    activities, and in the long term, the project of consolidating the Capital Market Act, the
    Bank Act and the Insurance Business Act be pursued, which will allow an universal
    banking system in Korea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financial industry overal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