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퍼텍스트(Hypertext) 학습환경에 있어서 학습자통제(Learner Control)와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es)에 관한 연구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1994.11
16P 미리보기
하이퍼텍스트(Hypertext) 학습환경에 있어서 학습자통제(Learner Control)와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es)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11권 / 2호
    · 저자명 : 조연주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결과 및 시사점
    V.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하이퍼텍스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사용하는 인지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로서 다음을 연구의 초점으로 하였다. 첫째 두가지 상이하게 다른 학습자통제(learner - controlled)와 프로그램 중심 (program- controlled)의 하이퍼텍스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과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와 둘째 그 결과 다른 두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결과 (achievement) 역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1993년도 가을학기초 3주동안 미국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교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 컴퓨터개론을 수강하는 학생들 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지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하이퍼카드 (HyperCard) 학습동안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 aloud)를 하게 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들이 학습동안의 비디오를 보면서 생각한 후 반추하기 (stimulated- recall) 를 하게 한 후 마지막으로 하이퍼카드 학습 전반에 관한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연구분석의 경우 소리내어 생각하기와 생각한 후 반추하기는 프로토콜분석 (Protocol Analysis), 인터뷰는 생성주제분석 (Emergent Theme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통제 중심과 프로그램통제 중심의 하이퍼카드 학습환경 간에는 학습자들의 인지과정이 뚜렷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학습환경의 차이가 곧 학습자들간 인지과정의 차이를 낳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반면 본 연구의 이차적인 초점이었던 학습결과에서 학습자들의 학습능력의 차이(ability differences)가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학습자통제의 학습환경은 특히 학습부진아(low ability students)에게 너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자 통제에 관한 기존 연구의 결과를 그대로 뒷받침하는 것이 된다. 본 연구의 질적인 자료, 즉 생각한 후 반추하기와 개별 인터뷰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들의 관심이나 선호와 같은 질적인 차이가 학습환경의 차이에 관계없이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the type of computer - mediated environment, learner or program- controlled, is not as significant as a learner's general academic ability i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CAI in general, and hyper text in particular. Cognitive processing in relation to learner control issues in hyper text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has not been examined. Therefore,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cognitive processes learners use in HyperCard environments: whether students' cognitive processes differ in learner - versus program- cont rolled environments, and how much students learn in each.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enty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hey were novices in using HyperCard and had limited knowledge of the buildings located on Congress Avenue, a main street in the city of Austin. Students were a sked to think aloud whil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sing either learner - or program- controlled HyperCard program. Participants were audio- and video- taped during the learning task. Participants completed a post test, were asked about what they had been thinking while watching video segment s of their learning task, and were encouraged to answer questions regarding their opinions about the program.Think- aloud and stimulated- recall protocols were analyzed with protocol analysis procedures (Ericsson & Simon, 1984)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emergent theme analysis (Lincoln & Guba , 1985). In order to see group differences statements on each type of cognitive process activity, time on task and learning outcomes were rank- ordered and tested with at - test and the Mann-Whitney U Test.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was used as supporting evidence for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No overall dra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learner - and program- controlled groups were found for cognitive processes in hypertext learning environments. The type of environment, learner - or program- controlled, did not appear to correlate with appreciable differences in learners' cognitive processes. Ability differences, howev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ed previous findings that learner - controlled versions may be too difficult for low ability students. Qualitative participant differences(i.e., interests, preferences) were also found to be meaningful, regardless of learning environment differences. Individual learning styles and preferences along with ability differences are therefore presumed to affect the moment - to- moment selection of options in hypertextual learning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