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6
24P 미리보기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시각장애연구 / 26권 / 2호
    · 저자명 : 이덕순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Ⅲ.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한국과 일본의 학교 수준 직업교육과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초록

    본 연구는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검토 및 재고를 통해 직업 교과 확대 방안을 모색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의 특수 학교 직업교육과정 확대에 대한 담론(談論)을 제기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다양한 장애영역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고려가 상당히 미흡하며, 선택할 수 있는 교과 및 과목 수(9개 교과 18개 과목)도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의경우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과정은 12개 교과 77개 과목이며, 한국의 경우도 발달수준과 학업수행능력에서 거의 동질적인 특성을 보이는 일반학생들을 위한 전문(직업)교육과정은 10개 계열 448개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와 과목 수는 다양한 장애영역 및 선택 가능 직종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교육과정의 기능은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인 만큼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도 일반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 선택 교과나 일본의 다양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선택 교과 및 과목들을 구성하고 편제하여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현행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 및 과목의 범위와 수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서 교과별로 영역화되어 있는 세부 분야를 ‘이료’ 교과처럼 과목으로 전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보다 심도 있고 전문성있는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들을 강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교 직업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제언으로, 국가 수준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특수학교(급)에서 자체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직업 교과들을 국가 수준 직업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이료’ 교과로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해 일본의 예처럼 ‘이료’ 외의 다른 종류의 직업 교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신지체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직업 교과를 신설·확대하고, 학교 자체 설치 직업 교과의 경우에는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따른 제반 지원책(교사수급 추가 지원, 교과용도서 개발 및 편찬 경비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scourse on the expansion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ly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and Japanese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finding a way of expanding vocational subjects through considerat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searched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Japa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focusing
    the examples of high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for the properties and requests of various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ourses and subjects available (18 courses in 9 subjects) is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the result shows that the vo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Japan are 77 courses in 12 subjects and the specialized(voc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students in Korea who show almost identical quality in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apability are 448 courses in 10 categories.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s in Korea who
    need speci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with their various types of
    impairments and selectable occupations. Second, the elective curriculum serves as provis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must provide more opportunities by organizing and forming various
    elective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like specialized elective subjects in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or the
    various vo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Japa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s a
    specific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seek a drastic expansion of the scope and
    number of vocational subjects and courses for the students who currently need special
    education and to consider a plan for organizing curriculum which can provide more in-depth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by converting the
    detailed courses that are categorized by subjects in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to regular subjects like ‘Medical Massage’ subject. Fourth,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i)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t organized in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ut which are internally organized in many special education
    schools(classes) into a new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i) as in
    case of Japan, the identification of a plan for expanding various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ther than ‘Medical Ma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select the vocational curriculum limited to ‘Medical Massage’, iii)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vocational subject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iv) in case of the vocational subjects established by schools, the provision
    of various supports according to organization of new curriculum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ers, development of course books, provision of funds for publishing such
    books, etc).
    Key words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Majoring course curriculum in special school,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각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