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36P 미리보기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0호
    · 저자명 : 조정현

    목차

    1. 인물 관련 민속과 ‘문화 읽기와 쓰기’를 주목하는 까닭
    2. 공민왕 관련 설화에 나타난 고려와 안동의 관계 인식
    3. 공민왕 관련 공동체신앙의 혈연의식
    4. 공민왕 관련 민속놀이의 역사의식
    5. 안동지역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6. 공민왕 관련 민속의 특성과 현대적 재생산
    참고문헌

    초록

    이 논문은 안동지역에서 전승되어온 공민왕 관련 설화, 신앙, 놀이 등의 민속을 통해 지
    역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관련 민속을 살펴본 결과, 안
    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안동지역 전체에 고
    루 분포하고 있으면서 제의적 전통에 따라서 전승력의 강약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 둘째,
    고려조와의 인연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셋째, 임시수도 역할을 했던 안동을 강조하면서 지
    역분권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넷째, 공민왕 가계신앙과 관련해서 혈연의식이 강조되
    고 있다는 점, 다섯째, 현재까지도 안동주민과 의사소통을 이루는 감정적인 신격으로 인식
    되고 있다는 점, 여섯째, 노국공주를 성모로 인식하는 가운데 여성주의적인 성향을 보여주
    고 있는 점, 일곱째, 실제의 역사보다 주민들의 인식과 믿음에 기초한 진실의 역사를 추구
    한다는 점 등이다.
    지역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문화 읽기와 쓰기’는 쓰여짐의 대상으로 인식되기를 거부하
    고 스스로 자신들의 역사와 현실을 의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지위와 능력을 확보하는 가장
    강력한 문화적 행위이다. 이러한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높임
    과 동시에 지역 공동체의 결속력을 높여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통문화의 전승
    까지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민중들의 레토릭(rhetoric), 즉 수사(修辭)는 현란하거나 돌려서 발화하는 방식이 아니다.
    자신들의 인식을 가장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는 관용어구 등의 방식을 주
    로 사용한다. 또한 안동 주민들은 이러한 자신들의 인식을 발화되는 말로만이 아니라 행동
    으로서 형상화하고 있는 점 역시 주목된다. 공동체신앙의 신격으로 끌어들이면서 공민왕과
    그 가족신들과의 인연을 엮어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민왕 일행의 바람과 자신들의 소망
    을 함께 동일시하여 민속놀이로 형상화하는 데까지 이르고 있다. 민족지학자나, 인류학자,
    민속학자 등의 문화쓰기가 글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면, 민중들의 문화쓰기는 설화로부터
    시작해서 신앙관련 담론과 제의행위, 나아가 예술적인 형상화에 이르는 민속놀이의 실현까
    지를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Features of folk related to king Gongmin in Andong area can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t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total Andong area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ransmission according to ritual tradition. Second, it is
    emphasizing a tie with the Goryeo Dynasty. Third, it is disclosing spirit of
    the decentralization system by emphasizing Andong where played a role as
    a temporary capital. Fourth, blood ties are being emphasized with regard to
    family religion of king Gongmin. Fifth, king Gongmin has been recognized
    to be a god as an emotional existence to communicate with Andong residents
    until now. Sixth, it has a feministic tendency by recognizing princess Noguk
    to b e a h oly mothe r. S e ve nth, Andong r e side nts pursue true history b ase d
    on their recognition and belief than real history.
    Positive ‘culture reading and writing’ of community society is the strongest
    cultural behavior to secure position and ability through which local residents’
    own history and reality are perceived and expressed as well as refusing that
    their own history and reality are recognized to be an object of recording. When
    such a p roce ss is amicably re alize d, h igh pride of community i s cause d,
    cohesion of community is increased and diverse kinds of traditional culture
    can be transmitted.
    The people’s rhetoric is not in a brilliant way spoken indirectly. They use
    idioms to give shape to their own recognition the most directly and efficiently.
    It i s note d that Andong re side nts are giving shape to the ir own r e cognition
    in b e haviors as we l as spoke n words. The y make tie s with k ing Gongmin
    and his family by deifying community religion and give shape to folk plays
    by identifying their desire with desire of king Gongmin and his family. If
    culture writing of ethnographical scholars, anthropologists and folklorists is
    based on writings, the people’s culture writing includes folk tales, religion
    related discourse and ritual behavior and furthermore realization of folk play
    in artistic embodiment.
    Key words:Andong Area, Temporary Capital, King Gongmin, Princess
    Noguk, Pedigree God Group(家系神群), Byeolshingut, Notdari
    Treading, Character Legend, Rhetoric, Culture Reading and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