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01
36P 미리보기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 &lt;차사본풀이&gt;의 성격과 기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0호
    · 저자명 : 권태효, 김윤회

    목차

    1. 머리말
    2. 관련 자료의 존재양상 및 성격
    3.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서 본 의 독자성
    4. 의 신화적 성격과 기능
    5. 마무리

    초록

    제주도 <차사본풀이>는 악인이 재물을 탐해 삼 형제를 죽이자 그 원한을 갚으려 삼 형
    제가 자식으로 환생해 요절하니 염라왕을 데려와 그 죽음의 원인을 밝힌다고 하는 내용의
    서사무가로, 함경도 무가인 <짐가제굿>, 충청·전라지역에서 전승되는 <원수 갚으려 태어
    난 아들>담, 대마도의 서사민요인 <오이세참배> 등 흡사한 인물설정과 내용을 보이는 자료
    가 지역과 장르를 넘나들며 분포하고 있어, 공통적인 서사물이 제주도 나름의 죽음의 세계
    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서사무가로 자리잡은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차사본풀이>는 인간세상에서 제기된 죽음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는 이야기를 발전시켜
    저승을 직접 여행하는 주인공을 설정하고, 죽음과 관련된 상례에 대한 여러 가지 법도를 제
    시하며, 죽음과 관련된 인간 본원의 의문 및 인간을 데려가는 차사신의 행적 등을 결합시키
    면서 동계 자료와는 달리 망자를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고 그 근본을 푸는 서사무가 형태로
    거듭난 자료이다. 이런 <차사사본풀이>는 동계 자료에 비해 첫째, 저승을 다녀오는 강림이
    라는 존재가 특히 중시된다는 점, 둘째,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신격을 섬기는 무가에
    걸맞게 저승길에 대한 노정이라든가 저승의 모습이 잘 나타난다는 점, 셋째, 인간의 본원적
    인 관심사인 죽음 관련 의문이나 죽음을 관장하는 차사신으로서의 권능 및 역할을 강조하
    는 점 등이 두드러지는데, 이런 특징은 육지에서는 망자를 인도하는 바리공주라는 신격을
    섬기는 <오구풀이>가 존재하지만 제주도에는 바리공주가 없고 <차사본풀이>가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어떤 과정을 거쳐 제주도 나름의 망자를 인도하
    는 성격의 서사무가로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며, 다만 제주도에는 액막이 성격의
    <맹감본풀이>가 있어 그 기능상 중복되기에, 그 관계성 속에서 망자를 죽음의 세계로 인도
    하는 무가로 자리잡았을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Chasabonpuri, a general shamanic epic on J e ju Island can be regarded as
    a material which has a kind of similar contents as Jimgaje-gut, a shamanic
    song from Hamgyeong Province, The folktale of a son who was born to
    revenge, and Oisechambae, a kind of epic folksongs from Tsushima Island.
    The contents of Chasabonpuri i s followed; A bad pe rson who was avid for
    the wealth killed his three brothers. To revenge their wrongful death, the three
    brothers reincarnated as children of the bad person, the murderer who killed
    the three brothers, and they suddenly died at their early age. Then, they
    brought Yeomradaewang, the King of Netherworld, to investigate the reason
    of their unfair death. The similar kind of epic poem like Chasabonpuri is being
    transmitted at the trans-regional and trans-genre level from Shamanic epic
    songs and stories that have handed down from mouth to mouth to epic songs
    in Japan.
    When Chasabonpuri is being compared with other sources having similar
    contents as Chasabonpuri has, Chasabonpuri has three different significances
    as followed.
    First, the being which is called Gangrim who is the one coming back from
    the afterlife gets much more highlighted and becomes more important in
    Chasabonpuri.
    Second, the one's pathway to the otherworld and what the otherworld looks
    like are significantly well-captured in the shamanic song, which serves a role
    as a song to hand over the dead person to the otherworld well and to serve
    Divinity who i s in c harge of handing the de ad to the othe rworld.
    Third, its contents highlight more on the power and role of Chasa, a kind
    of Divinity, who is in charge of death of mankind or questions with regard
    to death, all of which are the original concerns which humankind has.
    The reason why the death of people is being more focused on in
    Chasabonpuri, which is a unique and different feature when it is compared
    with o the r source s, i s that the re e xists Ogupuri which serves Barigongju,
    Divinity who is in change of handing over the dead person to the otherworld
    on land. However, since there is not a similar kind of Divinity like Barigongju
    on Jeju Island, Chasabonpuri serves the role and function as Barigongju plays
    on land.
    Key words:Shamanic Epic Songs, Chasabonopuri, Jimgaje-gut, The Folktale
    of a Son Who Was Born to Revenge, Oisechambae, Divinity
    in Charge of Handing over the Dead to the Next World, a
    Pathway to The Next World, Ogupuri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