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토크쇼 미녀들의 수다>의 구술문화적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34P 미리보기
&lt;글로벌 토크쇼 미녀들의 수다&gt;의 구술문화적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27호
    · 저자명 : 이홍우

    목차

    1. 서론
    2. 다문화적 관점과 에서의 구술문화
    3. 의 토크 진행방식의 특징과 주제
    4. 의 구술문화적 특징
    5. 결론-의 한계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이 논문은 텔레비전 토크쇼인 <글로벌 토크쇼 미녀들의 수다>(이하 ‘미수다’)를 구술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토크쇼는 구술문화나 구술성에 바탕을 두면서 현대의 이야기 문화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미수다>는 한국에 거주하는 각국의 미녀들의 시각에서 한국인, 혹은 한국 문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의 일면을 토크쇼의 구술문화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는 적절한 표본이라 할 수 있다.
    우선, 2장은 논의의 전제를 위한 장으로, 다문화적 관점에서 <미수다>의 구술문화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미수다>의 토크 진행방식의 특징과 함께 그 주제에 대해 살펴봤다. 토크 진행방식의 특징으로 첫 번째는, 앙케트와 토크가 핵심 축을 이루면서 ‘사회자+고정 패널+방청객+출연자’라는 현재 한국 토크쇼의 유행을 대변함으로써 출연자들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프로그램에서 자막의 비중이 크다는 점인데, 이는 외국인 출연자들의 한국어 구사 능력의 편차와 구사하는 외국어의 다양성 때문이다. 또한 이처럼 자막이 강조되는 것은 역으로 이 프로그램 자체가 출연자들의 구술행위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세 번째는, ‘토크축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토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 한국인과 외국인, 외국인들 간의 다양한 축을 중심으로 입담 대결이 펼쳐지는데, 이를 통해 단순히 외국인이 본 한국문화가 아니라 각국의 출연자들이 자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문화를 이야기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토크가 진행된다.
    토크의 주제에 있어서는 한국에서의 문화 충격에 대한 토크, 단순한 문화적 충격을 넘어 외국인으로서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힘든 상황에 대한 토크, 한국 문화 혹은 한국인에 대한 애증(愛憎)에 대한 토크로 크게 대별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미수다>의 구술문화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첫 번째 특징으로는 <미수다>에서는 ‘경험담’이 주를 이루는데 경함담의 본래적 형태라 할 수 있는, 경험자가 직접 경험내용을 들려주는 ‘본래의 경험담(1차적 경험담)’의 경우 ‘대중매체 경험담’과 ‘실질 경험담’으로 다시 세분화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미수다>에서 벌어지는 토크의 논쟁적 성격을 지적할 수 있다. <미수다>의 경우는 국적이 다양한 출연자들을 바탕으로 토크를 진행하다보니 특정한 토크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논쟁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수다>에는 한국 구술문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구체적 경험 양상이 미흡하게나마 드러나는데 그 중에서 외국인들에게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속담과 금기(禁忌)를 중심으로 구술문화적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었다가 최근 100회 특집을 맞이할 정도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 된 <미수다>의 한계와 전망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levision talk show "Global Talk Show, The Beauties' Chatterbox" (hereafter "Chatterbox") from the point of view of oral culture. Talk shows are based on oral culture or orality, and present various aspects of modern talk culture. "Chatterbox," as a program that discusses Koreans or Korean cul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young women from various countries, offers insight into the increasingly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through the oral culture of a talk show.
    Chapter 2 established the premise of the paper, taking a close look at what the oral culture of "Chatterbox" means in terms of multiculturalism.
    Chapter 3 looked at the subject matt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 of "Chatterbox."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format is that questions and discussion make up the main part of the show, showing the popularity of the "emcee/regular panelists/audience members/guests" format and allowing glimpses into the cultures of various nations through the vivid experiences of the young women. Secondly, the program makes frequent use of subtitles, and this is because of the variation in Korean language abilities of the young women and the wide variety of foreign languages they speak. This heavy reliance on subtitles is also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the program focuses on the oral performances of the young women. Thirdly is the wide variety of ways that discussion takes place. Discussions take place along a variety of axes, such as men/women, Korean/foreigner, and foreigner/foreigner, and these discussions do not focus simply on Korean culture as seen by foreigners, but on other cultures as seen from a variety of cultural viewpoints.
    The topics of discuss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culture shock,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Korean life that go beyond culture shock, and likes and dislikes when it comes to Korean culture or Koreans.
    Chapter 4 looked at the oral culture characteristics of "Chatterbox." Firstly, "Chatterbox" focuses primarily on tales of personal experience, and in the case of "primary tales of personal experience," where the experience is related directly by the person who experienced it, these tale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mass media tales of personal experience" and "substantial tales of personal experience." Secondly, the discussions on "Chatterbox" have an argumentative character. It is common to see argumentative discussions over certain topics, since the guests come from a variety of national backgrounds. Lastly, "Chatterbox" presents specific experiences of foreigners with Korea's oral culture, and this is represented primarily by sayings and taboos.
    The conclusion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Chatterbox," which has become popular enough to recently reach its 100th episod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