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파견사업」에 관한 생활만족도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22P 미리보기
「독거노인 생활관리사 파견사업」에 관한  생활만족도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 / 5권 / 1호
    · 저자명 : 류인애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분석
    Ⅴ.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초록

    인구의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혼자 일상생활을 영위하지 못해 도움을 받아야 하는 의존성 노인들이 증가하고 독거노인들의 고독사, 자살, 유기되거나 방치하는 등의 사회현상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국민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따라서 국가가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 까지 인식되어 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과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파악하고,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서울 시립용산노인종합복지관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독거노인 6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데이터를 참고로 작성되었다.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으로 새로 신설된 방문요양의 경우 재가급여에 해당되는데 주요서비스로는 장기요양대상자의 집을 방문해서 목욕, 화장실 이용, 옷 갈아입히기, 머리감기기, 취사, 생필품구매, 청소, 주변정돈 등의 기본적인 생활보조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가정파견사업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은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실체 및 복지욕구 파악, 안전관리 및 생활교육실시, 노인관련 보건, 복지 서비스 연계활동을 통해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목적으로 2007년에 시작된 노인복지사업이다. 독거노인에 대한 방문요양서비스와 독거노인생활관리사 파견사업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두 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점은 동일하다. 이 두 유형의 서비스가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목표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는지 그 서비스 효과에 평가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방문요양서비스와 독거노인생활관리사파견사업이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tinual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society, the numbers of the dependent elderly who cannot maintain their daily livings alone and needs assistance are also increasing. Also the consequential social phenomenon from aging society such as dying alone, suicide, desertion or abandonment of the elderly are taking the attention of press as well as becoming the concern of the public, which is being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needs the state’s intervention.
    This study is to identify caus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especially those recipients of the life management assistant dispatch project and its service, then to make recommendations of practical measures for the elderly welfare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took the data as its reference from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or 600 elderly living alone who are the life management assistant service recipients provided by the Yong San City Elderly Welfare Center of Seoul.
    In July of 2008, the title of the project has changed to the Visiting Care Service along with commencement of the long term nursing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case of the visiting care, it is corresponding to the home care allowance, and as its major services, there are services like bathing, toilet use assistance, and clothes change help, hair washing, cooking, living goods shopping, cleaning and putting the home in order. These basic living assistance services can be considered as extension of home visit project. The life management assistant dispatch projec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ims to establish a social safety network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identifying their actual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executing safety management and living education as well as the elderly related health and welfare service networking activities. This project has begun in 2007 as the elderly welfare service and its two services, the visiting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life management assistanc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provide similar services and they have the same goal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t is a fact that there is little study done for evaluate the service effectiveness such as how much these two service contribute to the goal achievement of improving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for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verify how the visiting care service and the life management assistant dispatch projec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사회복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