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MI(Music & Imagery) 치료사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24P 미리보기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MI(Music & Imagery) 치료사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5권 / 1호
    · 저자명 : 송인령

    목차

    Ⅰ. 우울과 음악치료
    Ⅱ. MI (Music and Imagery)
    Ⅲ. MI 치료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MI란 Music and Imagery의 약자로 심리치료의 한 방법인 GIM(Guided Imagery and Music)을
    현실에 맞게 축약적으로 접목시킨 방법이다. 이는 치료목표에 적합한 음악감상을 통해 다
    양한 심상을 경험함으로 인간의 내면세계를 탐색, 직면, 통찰, 해결하게 한다.
    본 치료사례는 MI기법을 활용하여 우울한 내담자의 긍정적 내적자원에 따른 심상을 체험
    하고, 그 체험을 언어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그 이미지들을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적
    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지지적 수준의 개인 치료사례이다.
    지지적인 수준(Supportive Level)에서의 MI는 음악 안에서 안전하게 서로 지지하는 수준에
    서만 사용한다. 개인세션 도입은 특정 느낌이나 주제, 단어 혹은 시각적 이미지를 연상하
    고, 이러한 이미지는 갈등적인 내용이 아닌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한다.
    MI의 한 회기 별 첫 번째 단계는 초기면담(Prelude)으로 상담의 초기면담과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정한다. 두 번째 단계는 전환(Transition)으로 여러 가지 내담자의 이야기 중에 가장
    지지적인 주제를 좀 더 초점화하여 구체적으로 느끼고 표현 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단계는 긴장완화 및 음악 감상(Music Listening)으로 여러 긴장이완법 등을 사용하여 음악 감
    상하는 동안 심상이 잘 떠오를 수 있도록 이완 시킨다. 그리고 음악 감상 동안 음악이 가
    져다주는 여러 가지 심상들을 탐색하고 연상 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 단계는 마무리
    (Process)시간으로 음악 감상 동안 경험되어진 심상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개인적인 심상경험
    을 언어적인 과정을 통해 치료사와 공유함으로써 긍정적인 경험을 확장시켜 내적인 힘을
    키운다. A 내담자의 경우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하기(공감, 이해, 지지), 내담자의 긍정적인 자원탐
    색(어린시절, 가족), 내담자의 감정표현 및 긍정적 지지(현재의 나)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
    하였다. 음악은 내담자가 선호하는 음악과 치료사가 선정한 음악 중에서 음의 전개가 단순
    하고, 멜로디가 반복적이며, 리듬이 규칙적이며, 협화음으로 구성된 안정적이고 구조화된
    음악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A는 1, 2회기에는 방어기제를 많이 사용하고 우울로 인한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보였으나 3회기 이후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과 지지적인 음악을 치료사가
    제공하는 것으로 인해 공감과 지지를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하여 4회기부터 안정
    감을 갖고 세션 안에서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하고, 자신의 내재된 힘을 발
    견하게 되었다. 6회기에는 과거 힘들었던 시간들이 앞으로 갖게 될 좋은 시간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B 내담자의 경우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 및 탐색하기(공감, 이해, 지지), 내담자의 문제 탐
    색 및 긍정적 인식(어린시절, 가족), 내담자의 감정표현 및 통찰하기(현재와 미래의 나)의 구
    체적인 목표를 설정하였다. 음악은 1, 2회기에는 안정적이고 구조적인 음악을 사용하였으
    나, 3회기 이후 곡의 전개가 점점 커지고 주제 멜로디의 변주로 음의 고저가 많으며, 협화
    음과 불협화음이 넘나드는 고전파와 낭만파의 음악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 내담자는 1,2
    회기에서는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종교적인 관계로 전환하여 현실회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났
    으나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과 지지적인 음악을 통하여 공감과 지지를 경험할 수 있었다. 3
    회기 이후 B는 자신의 현실 문제를 인식하고 직면하였으나 회피와 직면의 양가감정을 갖게
    되었다. 4회기 이후 B는 우울로 인한 감정의 변화를 음악 안에서 경험하고, 자신의 문제에
    직면하였다. 5, 6회기에서는 긍정적인 자원을 통해 내적인 힘을 키우고 해결하려는 태도와
    미래에서의 내가 좀 더 당당하고 건강하게 살아가려는 의지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MI 프로그램은 GIM 프로그램보다 좀 더 현실적이고 짧은 회기수로 내담자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GIM처럼 깊은 무의식속으로 접근 하지 않
    고도, MI는 현실주의 상담과도 같이 내담자의 현실적인 문제를 근거로 하여 문제인식 및
    통찰, 해결해 나갈 수 있다. 특히 음악의 사용에 있어서도 다양한 장르의 곡을 내담자에게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악감상 시간도 GIM에 비해 짧고 곡의 기능들도 구조화되어 내담
    자의 감정을 심상으로 잘 표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MI는 내담자의 음악선호도와 음악의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여 개인과 그룹으로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 및 청소년에게도 알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case used MI techniques that give an imagery experience to depressed client's mental resource,
    and that makes in to verbalism. Also those images are supportive level therapy examples that apply
    to positive variation.
    MI is simple word of ‘Music and Imagery’ with one of psychology cure called GIM(Guided
    Imagery and Music). It makes client can through to the inner world and search, confront, discern
    and solve with suitable music.
    Supportive Level MI is only used from safety level music. Introduction of private session can
    associate specification feeling, subject, word or image. And those images are guide to positive
    experience.
    The First session step of MI program is a prelude that makes concrete goal like first interview.
    The Second step is a transition that can concretely express about client's story. The third step is
    induction and music listening. And it helps to associate imagery more easily by used tension
    relaxation. Also it can search and associate about various imagery from the music. The last step is
    process that process drawing imagery, talking about personal imagery experience in common with
    therapist that bring the power by expansion the positive experience
    Client A case targets rapport forming(empathy, understanding and support), searching positive
    recourse(child hood, family), client's emotion and positive support. Music must be used simple tone,
    repetition melody, steady rhythm and organized by harmony music of what therapist and client's
    preference. The client used defense mechanism and couldn't control emotion by depression in 1 & 2 sessions. But the result was client A could experience about support and understanding after 3
    sessions. After session 4 the client had stable, changed to positive emotion from the negative emotion
    and found her spontaneous. Therefore, at the session 6, the client recognized that she will have step
    of positive time at the future.
    About client B, she established rapport forming(empathy, understanding and support) and searching
    issues and positive recognition(child hood, family), expression and insight(present, future). The music
    was comfortable, organizational at the session 1 & 2, but after session 3, its development was
    getting bigger and the main melody changed variation with high and low of tune. Also it used the
    classic and romantic music. The client avoids bad personal relations to religious relationship. But at
    the session 1 & 2, client had supportive experience and empathy because of her favorite, supportive
    music. After session 3, client B recognized and face to face the present issue. But she had avoidance
    and face to face of ambivalence. The client B had a experience about emotion change according
    depression and face to face client's issues After session 4. At the session 5 & 6, client tried to have
    will power of healthy life and fairly attitude, train mental power and solution attitude in the future.
    On this wise, MI program had actuality and clients' issues solution more than GIM program. MI
    can solute the issue by client's based issue without approach to unconsciousness like GIM. Especially
    it can use variety music and listening time is shorter than GIM and structuralize. Also can express
    client's emotion very well. So it can use corrective and complement MI program to children,
    adolescent and adul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