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2
17P 미리보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14권 / 1호
    · 저자명 : 하경수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포스트모던 역사학과 역사
    Ⅲ. 역사교육과 역사
    Ⅴ. 나오면서

    초록

    현재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학으로 함축될 수 있는 다양한 논의와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것은 역사와 역사교육에서 새로운 형태의 지식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빚어지는 혼란과 진통인 동시에 우리나라 역사학이 도약기에 접어들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역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도 “역사교육이란 무엇이며, 역사교육에
    서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이것은 역사학과 역사교육이 근본적으로 서
    로 다른 전제에서 출발한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초등학교에서부터 모든 학생들에
    게 역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과연 이것이 그들을 역사가로 만들기 위한 교육이며, 우리가 그들
    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이 과거와의 대화를 모색하는 역사가의 방식과 그에 따른 역사 이야기인
    가?
    역사가들이 말하는 역사란 이미 사라져버린 과거의 인간과 그의 삶을 대상으로 인식론적인 차
    원에서 이루어진 대화의 결과이다. 역사교육이란 아직 살아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위해 물
    리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행위이다. 살아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역사의 주체라고 말할 때, 그것이 인식의 주체인가 아니면 실
    천의 주체인가? 현재의 인간이 과거에 대한 인식에 몰입하며 현재의 행위를 소홀히 할 때, 또한
    그들이 이미 만들어진 기억과 기록에 몰두하며 앞으로 만들어야 할 기억과 기록에 무관심할 때,
    우리는 우리를 과거로 삼아 대화에 나서게 될 미래의 현재에게 어떤 대화거리를 남겨줄 수 있겠
    는가?
    이제 역사교육에서 묻는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은 뚜렷해 졌다. 역사에는 인식의 역사
    와 실천의 역사가 있다. 인식의 역사는 역사 쓰기의 역사이며, 실천의 역사는 역사 만들기의 역
    사이다. 이 실천의 역사에서 역사란 인간이 시간 속에서 만든 변화이며, 그 변화를 이끄는 역사
    의식은 미래의 기억 속에 현재를 어떤 모습으로 남길 것인가이다. 우리의 역사교육이 역사 만들
    기를 이끌어내고, 그 덕택에 우리가 기억에 남을 만한 대화거리를 많이 만들어 놓을 때, 미래가
    만들 우리의 이야기도 그만큼 풍성하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impact of the postmodern ideas has recently taken placed in the Korean
    society of historians and caused a lot of debates on the nature of historical studies.
    The debates in academic history also bring about the necessity of the reception of
    postmodernism in history education. The postmodern discourses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have focused on the nature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on the
    nature of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fundamentals of academic
    history and school history should be differentiated by their purposes and approaches.
    The nature of history from the view of scholastic historians is the result of
    epistemological conversations between the human beings in the past and the
    historians in the contemporary. However, the history education should be planned for
    the citizens living in the contemporary. The citizens living the contemporary
    understand their own lives not by their epistemologies but by their practices. They
    are practitioners of their lives. If they manage their lives solely based on their
    memories of the past and neglect their current concerns and practices, and if they
    only focus on the records and memories that has been already made by someone
    else, they will fail to leave their traces for the future generations that can cause
    conversations about themselves as the past.
    It is clear for now about the nature of the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There
    are two kinds of histories. The history from the epistemological or academic
    perspective is the history of writing; and the one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is
    the history of making. From the latter point of view, history is the result of changes
    created by human beings living in the history of practice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agents who make history shapes the future memories about
    their present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