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정체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척수손상 장애인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31P 미리보기
장애정체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척수손상 장애인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5호
    · 저자명 : 이익섭, 신은경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장애 정체감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장애인의 정체성은 장애인의 주관적 장애수용과 장애를 받아들이는 수용과 태도의 통합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지금까지 장애 정체성은 명확한 개념 정의와 하위차원이 개발되지 않아 장애 정체감에 대한 사회 심리적 이해가 이루어 지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 정체감에 대한 개념정의를 척도개발과 함께 진행하며 주성분요인으로 밝혀지는 하위요인을 통해서 귀납적 개념정의를 도출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 정체감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문항의 하위차원을 구성하고, 그 하위차원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그룹과 심층면접을 거쳐 중심내용을 검증하는 문항개발의 단계를 가졌다. 그 다음으로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부적합한 문항을 제외한 후 척도의 차원과 문항을 재설정 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본 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여 395명의 응답자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요인내의 문항에 대 신뢰성 검증 및 문항분석을 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전반적 부합지수 등에 대한 측정모형의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최종 확정된 장애 정체감 척도는 5개의 차원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하위차원은 인간으로서의 가치 8문항, 장애수용 4문항, 권리주장 4문항, 공통근거 3문항, 외적 장애물 4문항으었다. 본 모형이 갖는 자료와의 부합도는 터커 루이스 지수(Tucker-Lewis index) .989, 비교부합지수(CFI) ,991 이었고, 군사평균오차 제곱근(RMSEA=Root Mean Square Error Approximator).051로 좋은 부합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전체 신뢰도는 Cronbach 값이 .867었다.
    개발된 DIS(Disability Identity Scale) 척도는 장애 정체감에 대한 개념의 하위영역을 고찰함으로써 수많은 유사개념의 나열로 이해될 수 있었던 장애 정체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할 수 있다는 학문적 함의를 갖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develop and evaluate an identity development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oncept of disability identity means integration between self-acceptance with the disabled and perception of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y this time, there is no scale and definition about disability identit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tract the items from literature reviewing on the identity and the minority identity and tried to perform contents analysis based upo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nd examined the validity through explorative factor analysis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analyses were proceeded with following three step. In step 1, sub-dimensions and items were developed. In step 2, items were modified by pilot test. In step 3, the final model scale was verified by explorative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of 23 items was proved to be a reliable instrument(Cronbach = 0.867) and categorized into five sub-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is 'personal worth' with 8 items; the second is 'self-acceptance with the disabled' with 4 items; the third is 'individual civil right' with 4 items; the forth is 'common cause' with 3 items; and the fifth is 'external barriers' with 4 items. All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tructure of the model scale was reasonable fit(TLI: .989, CFI: ,991, RMSEA; .051) and valid tool to evaluate disability identity.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 in respect that it is the one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disability identity to an academic society of disability study and developed a related scale. Finally, we could suggest that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self constitute the disability identity, which could make us to understand the psycho-emotional effect on the disability from soci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