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꿈’인가 ‘지향점’인가 : 란다우어(G. Landauer)의 유토피아 이해와 의미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20P 미리보기
‘꿈’인가 ‘지향점’인가 : 란다우어(G. Landauer)의 유토피아 이해와 의미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6권 / 3호
    · 저자명 : 김영일, 서영조

    목차

    Ⅰ. 서 론
    Ⅱ. ‘존재하지 않는 곳’인가 ‘다른 사회’인가: 유토피아의 의미
    Ⅲ. 공간적 유토피아에서 의지적 유토피아로: 유토피아 사상의 역사적 전개
    Ⅳ. 의지적 지향점으로서의 유토피아: 란다우어의 유토피아 이해
    V. 유토피아의 사회적 의미: ‘마땅히 있어야할 사회적 모습’에로의 의지적 정향
    Ⅵ. 결 론
    참고문헌

    초록

    가장 인간의 사회적 삶의 모습을 지칭하는 유토피아라는 개념은 오늘날 우리에게 ‘실현 불가능함을 의미하는 부정적이고, 허황한 그 어떤 것’의 의미로 각인 되어 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토피아(Digitopia)’, ‘테크노피아(Technopia)’, ‘에코토피아(Ecotopia)’, ‘데모크라토피아(Democratopia)’ 등과 같이 새로운, 그리고 희망적인 사회를 지칭하는 용어들이 끊임없이 유토피아에서 파생되어 나온다는 사실은 유토피아라는 용어가 현대의 우리에게는 부정적으로 각인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 속에는 분명 새로운 사회에 대한 희망을 더 본질적인 의미로 내포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볼 때 유토피아는 우리에게 현실적 희망이어야 한다. 유토피아는 우리에게 멀리 떨어져 있는 이상적인 삶의 장소나, 먼 미래의 모습이 아니라, 현재 우리의 삶과 관련되어야 한다. 그래서 유토피아의 본질적 특성은 보다 나은 사회적 삶과 모습을 위해 현재의 부족한 모습을 비판하는 것에 두어져야 한다. 이러한 유토피아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이해를 그 누구보다 강조한 사람이 구스타프 란다우어(Gustav Landauer)이다. 그에게 있어서 유토피아는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는 인간들의 이정표이자 지향점이며, 또한 현재의 부족과 불만을 비판하는 준거이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로서의 유토피아는 따라서 삶의 매 순간 우리의 의식 속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개혁의 의지이며, 보다 나은 삶에로의 희망을 갖게 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Utopia' which stands for the most social figures of human beings has been perceived as unattainable, negative and unreliable. Even though 'Utopia' is recognized to have negative connotation, new and hopeful terminologies such as Digitopia, Digitopia, Ecotopia and Democratopia are derived from it since it shows internal desires for the new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Utopia should be actual hope. Utopia should be related to our present lives not to the ideal places far apart or future. Therefore, the essence of 'Utopia' is to criticize the insufficiency of the actuality for the better future. From this perspective, the philosopher, Gustav Landauer concentrated on the positive and active understanding of Utopia. It is a milestone for the people who orient the better existence and the compliance to criticize the shortages and complaints of modern day society. In this sense of 'Utopia' is the will of revolution consistently occurring in our consciousness at every moment, and embodies motive for the future by anticipating for the advanced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