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7차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와 개선 방향 탐색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5.01
32P 미리보기
제7차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와 개선 방향 탐색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도덕윤리과교육 / 21호
    · 저자명 : 정창우

    목차

    Ⅰ. 서 론
    Ⅱ. 제7차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실태
    Ⅲ. 제7차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Ⅳ. 결 론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상에 나타난 도덕과의 성격 및 목표, 방법 및 평가의 실태를 제시한 후, 최근 도덕교육 관련 각 학회 및 교원단체 간에 이루어진 풍부한 논의를 기초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보편윤리와 특수윤리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서는 보편적인 세계적 가치와 특수적인 지역적 가치의 조화를 슬기롭게 실현해야 할 책무를 강조하였다. 또한 도덕과에서 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학문적 근거 또는 토대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들의 윤리적인 삶의 실현을 위한 조건으로 윤리학만을 내세울 수 없으며, 이러한 관점은 콜버그, 시첼, 샌딘, 나딩스, 그리고 커틴스 등 도덕교육영역에서의 대표적인 학자들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정치교육 영역의 필요성은 콜버그와 신콜버그 학파의 이론적 관점을 통해 제기되었지만, 사회과학교육과는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내용체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무엇보다 생활영역확대법에 대한 대안적 기준으로서 주제중심법을 채택할 필요가 있고, 중등 도덕과(중1-고1)와 초등학교 도덕 및 고등학교 선택과목들 간의 연계성이 강화되어야 하며, 10학년(고1) ‘도덕’의 성격 전환이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지도방법 및 평가의 개선을 위해 지도방법의 다양성·구체성·적절성·적용가능성을 강화하고, 교과서 구성체제 개선을 통해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을 도모하며, 다양한 교육주체와의 연계성 강화와 도덕과 평가체제의 개선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presented the real picture of the natur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 & evaluation methods in the 7th secondary moral education, and then, investigate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abundant discussion about the key issues surrounding the direction for the next second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mong several academic circles and teachers' associations.
    At first,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rmony between universal global values and particular local values. In addition, the reason why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mor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was justified in term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of Kohlberg, Sichel, Sandin, Noddings, Kurtines, and so on. Even though the necessity of the domain of politic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was justified with respect to Kohlberg's and neo-Kohlbergians' theoretical perspectives, I clearly described the importance of the differentiation betwee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ontent system, I presented a moral theme-centered approach as an new alternative of expanding communities which we have used as a criterion for constructing contents so far. Also, I suggested that we should strengthen the connection amo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secondary(from 7th grade to 10th grade) moral education, and secondary selective-center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Lastly, I proposed several ways to enhance the level of teaching & evaluation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덕윤리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