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주지역 설화의 전승양상을 통해본 이야기문화의 현황과 향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3.01
40P 미리보기
양주지역 설화의 전승양상을 통해본 이야기문화의 현황과 향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17호
    · 저자명 : 강진옥

    목차

    1. 머리말
    2. 조사 및 구연자료 개관
    3. 전설의 전승양상
    4. 민담의 전승양상
    5. 이야기문화의 향방에 대한 탐색
    6. 마무리

    초록

    이 연구는 설화의 현재적 전승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주지역의 3개 읍면을 표본집단으로 삼아 현지조사한 성과를 토대로 하여 이루어졌다. 전설의 전승은 80대부터 60대에 이르는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거주지역이 중심이 된 지명 유래가 주를 이루었다. 전설 전승은 쇠퇴했지만, 전설적 관심은 전세대에 걸쳐 귀신이나 도깨비 등을 비롯한 ‘기이’를 주조로 하는 새로운 이야기형태로 자리바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담의 전승은 60-80대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령층에 따른 이야기문화의 향유방식에서도 일정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50대 이하 세대가 이야기문화의 전통단절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었음에 비해, 청소년들의 구연목록이 다양하고 풍부하다는 사실은 이야기문화의 향방에 접근하는 중요한 단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야기문화는 현대의 문화적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TV, 인터넷, 동화책 등등 매체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편되어야 하리라는 것이다.
    오늘날 변화된 문화적 환경 아래서도 인간의 삶과 함께 해왔던 이야기문화의 가치와 의의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그것을 현실문맥에서 구체화하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이야기문화가 우리의 삶과 문화 안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교육이나 활용에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에는 설화의 문화적 가치를 깊이 인식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역할이 중요할 것인데,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교육 또는 이야기문화체험 프로그램이나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이루어내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study on samples of two Eups one Myeon in Yangjoo area - Joonae Eup, Baikseok Eup, Kwangjeok Myeon. The field study was carried on for 20 days in more than 10 sessions by 15 resear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sidents of the area whose ages range from 10 to 80s. By the result of this field study, more than 330 pieces of legends and folk tales and numerous cases of personal stories were gathered.

    The transmission of legend was done mainly by those in 60s and over and it regards mostly with names of the places in which they live.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ough the transmission of legend becomes rarer, the interest in the legend still remains throughout the generations and replaced in the new story forms of 'god-like' ghosts and 'doggaibi'.

    The transsion of folk tales was only possible within those in 60s through 80s. It was found out that ways to enjoy the story culture varies with generations. Compared to those in 80s who inherited a rich oral story tradition, those in 70s, while showing some degree of connection with those in 80s, have demonstrated rationality and tendency of single-story- form(단형화)in selecting objects of and constructing oral stories, which are the main traits of those in 60s. This shows both continuity and change in cultural transmission.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ions under 50s display a clear sign of disconnection in oral story tradition and younger generations show wider and richer range of oral story items. This points to an important clue in sett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ory culture. The story culture should be reconstructed with newly developed media such as TV, Internet and children's story books.

    Our present duty is to recogniz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story culture which have existed with human lives in ever changing cultural environments and to find ways to realize them in real lives. Today the story culture is being experienced through various printed materials, visual materials and mass media programs. The issues of education and popularization of oral stories in various way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nd we need to be more concerned about educating and using oral stories so that they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and culture. For this, the role of researchers who are well aware of the cultural value of the oral stories is important in educating people utilizing various media and in developing programs and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oral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